↑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B씨는 어느 날 온 집안을 울리는 굉음에 깜짝 놀랐다. 무슨 일인지 살펴보니 세탁실 벽면이 무너져 있었다. 어쩐지 며칠 전부터 세탁실 문이 잘 닫히지 않더니, 폭발이라도 일어난 것처럼 여기저기로 튄 타일 파편이 발에 밟혔다. B씨가 사는 곳은 입주가 시작된 지 이제 막 1년이 지난 신축 아파트였다. 불안한 마음에 시공사에 안전성 진단을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앞으로 신축 아파트의 하자 보수 신청과 집단 분쟁 해결이 한층 수월해진다. 국토교통부가 하자관리정보시스템 운영 방식을 개선했기 때문이다. 부동산 시장에서는 입주자 편의성 증대를 기대한다는 반응과 하자 접수 자체를 줄이기 위해 부실시공 관리·감독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동시에 나오고 있다.
25일 국토교통부는 하자심사·분쟁조정위원회에서 운영하는 하자관리정보시스템을 전면 개편했다. 조정위는 지난 2017부터 2020년까지 공동주택에서 발생하는 균열·누수·붕괴 등과 관련된 조정 신청을 매년 4000여건씩 받아 왔다. 지난해에는 조정 신청 건수가 7686건으로 대폭 증가했다. 이처럼 이용자는 늘어나고 있는데 시스템은 노후화로 오류가 많고 사용법이 불편하다는 지적이 이어지면서 서비스를 대대적으로 손봤다.
↑ [사진 제공 = 국토교통부] |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하자관리정보시스템 전면 개선을 통해 사용자의 접근성과 편의성을 높였다"며 "조정위의 업무처리 효율성도 크게 향상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민간아파트의 3.3㎡당 평균 분양가는 3183만5000원으로 나타났다. 99㎡(약 30평) 아파트에 입주하기 위해서는 단순 계산 시 약 9억5000만원이 필요한 셈이다. 이처럼 쉽지 않게 분양받은 아파트에서 해마다 대규모 분쟁이 터지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실수요자들이 주택 품질을 가늠하고 건설사들의 책임감을 키울 수 있도록 후분양제 보편화와 날림 시
[이가람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