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25일 오후 경기 용인시 수지구 신봉동에 문을 연 하나은행과 우리은행 공동점포에서 손님들이 은행 업무를 보고 있다. 두 은행의 공동점포 개설은 이번이 첫 사례다. [박형기 기자] |
25일 매일경제가 전국 주요 은행의 공동점포 계획을 조사한 결과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시중은행이 공동점포 운영에 매우 적극적인 것으로 파악됐다. 우체국, 산업은행 같은 공공 금융사도 시중은행과 이 같은 점포를 운영 중이거나 연내 추진 계획을 잡고 있다. 반면 영업 구역이 지역별로 나뉘어 있는 대구·부산은행 등 지방은행은 이 같은 단기 계획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대조를 이뤘다.
![]() |
신봉동 지역에서 하나은행이 수지신봉지점 영업을 지난해 9월 13일 종료한 데 이어 우리은행도 같은 해 12월 30일 신봉지점 문을 닫았다. 이 지역은 모바일·인터넷 뱅킹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층 고객이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두 은행은 고객 불편을 줄이면서 영업점 운영 비용을 최소화하고자 공동점포 운영이라는 대안을 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공동점포 운영으로 점포 축소에 따른 고객 불편을 최소화하고, 다양한 고객층의 이용 편의성을 높이고자 이번 공동점포를 기획했다"고 말했다.
국민·신한은행은 이르면 3분기, 늦어도 연내에 경북 영주와 경기 양주에 공동점포를 꾸릴 예정이다. 영주 점포는 신한은행 영주지점에 국민은행이 들어와 같은 층에서 업무를 본다. 입출금, 공과금 수납 등 단순 창구 업무뿐만 아니라 대출·방카슈랑스 등 모든 은행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하나·우리은행 공동점포가 소액 입출금, 전자금융, 공과금 수납 등 고령층 수요가 많은 단순 창구 업무를 취급하며 영업시간도 오전 10시부터 오후 3시까지인 점을 고려하면 시중은행 중에선 국민·신한은행 공동점포가 '풀뱅킹' 공동점포로는 최초다. 양주 점포는 국민은행 건물에 신한은행이 들어오는 방식이고 현재 막바지 단계에 이른 것으로 알려졌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통합하려는 해당 지역에 각 은행이 영업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어야 시너지 효과가 난다"며 "이를 비롯해 여러 조건을 고려해 공동점포 개설·운영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밖에도 하나은행은 산업은행과 지난달부터 '점포망 공동 이용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산업은행 고객들은 하나은행의 모든 영업점과 자동화기기를 산업은행 채널처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산업은행 고객은 하나은행 계좌가 없어도 하나은행 영업점에서 입출금 서비스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우체국과 시중은행 간 협력도 가시화되고 있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우체국에서 시중은행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금융 허브 서비스'를 이르면 올해 안에 도입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공동점포 논의는 전국은행연합회를 중심으로 시작됐다. 연합회와 은행권은 작년 10월 고령층이 자주 찾는 지방 점포가 급감하면서 고령층의 금융 소외 현상이 가속화하자 공동점포 시범 운영에 대한 전담조직(태스크포스·TF)을 꾸렸다. 하지만 은행들이 공통적으로 줄이고 싶어하는 지역이 적은 데다 고객 정보를 공유해야 하는 문제 때문에 지지부진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들어 공동점포가 급물살을 탄 것은 계속되는 인건비와 점포
[문일호 기자 / 서정원 기자 / 김유신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