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봄 분양시장에서 대미를 장식하는 지역은 '상전벽해(桑田碧海)'가 이뤄지는 지역이 될 것으로 보인다. 개발이 뜸하고 노후주택이 밀집돼 있어 저평가를 받았던 곳들이 다양한 개발호재, 교통망 구축 사업 등으로 주거환경이 크게 개선되기 때문이다. 수도권에서는 인천 내항 일원에 가장 큰 변화가 예상된다.
22일 주택업계에 딸면, 인천 내항은 쇠퇴한 항만과 침체된 원도심 등으로 주거 선호도가 낮았던 곳이지만, 해양수산부와 인천항만공사(IPA)가 인천 내항 일원 항만재개발 마스터플랜을 진행하면서 일본 요코하마의 미나토미라이21에 버금가는 5대 특화지구(해양문화지구·복합업무지구·열린주거지구·혁신산업지구·관광여가지구)로의 변신을 앞두고 있다. 올해 상반기엔 인천 내항 1·8부두 항만재개발 사업지 내의 폐 곡물창고를 리모델링한 복합문화공간 상상플랫폼이 개관될 예정이다.
개발호재로 집값 시세는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부동산원 자료를 보면 인천항 일원인 중구는 지난 2년(20년 3월~22년 3월)간 집값이 38.62% 상승했다. 인접한 동구(33.54%), 미추홀구(34.34%)보다도 높은 수치다.
![]() |
↑ e편한세상 시티 항동 마리나 투시도 [사진 = DL이앤씨] |
상전벽해는 서울에서도 이뤄진다. 도심 한가운데 수십년된 낡은 저층 상가가 즐비했던 세운지구는 곳곳에서 재정비 사업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면서 오랜 세월을 담은 낡은 구도심이 각양각색의 새로운 공간으로 변신하고 있다. 을지트윈타워(2019년 4월 준공)가 들어선 뒤에는 이 곳으로 대우건설, BC카드, KT계열사 외 다양한 기업들이 둥지를 트는 업무지구가 됐다. 앞서 각양각색의 단지들이 공급된데 이어 내달 신규 분양도 예정돼 있다.
광진구 일원에서는 구의역 KT부지와 동서울 터미널 개발이 진행되면서 광진구의 부동산 시장을 일으킬 것으로 조명을 받고 있다. 총 7만8147㎡의 KT부지에는 광진구 신청사와 업무·숙박·판매 및 문화 집회시설 등이 조성될 예정이고, 동서울 터미널에는 버스터미널과 함께 호텔, 업무시설, 관광시설, 상업시설이 결합되는 개발 사업이 진행 중이다.
이 일원에서는 디벨로퍼 월송홀딩스가 이달 광진구 구의동 일원에서 '아끌레르 광진'을 공급할 예정이다. 지하 5층~지상 16층, 1개동 전용 45㎡ 154실 규모로, 복층형 설계가 적용됐다. 2호선 구의역을 이용할 수 있고 잠실대교와 강변북로, 올림픽대로가 가깝다.
지방에서는 지난 19일 부산·울산·경남이 하나의 '메가시티'로 발전시키는 국내 최초의 특별지방자치단체(특별연합)가 출범하면서 이들 지역은 이제 총 인구 800만 명에 달하는 3개 시도 광역경제권의 통합을 이루게 됐다. 대도시권 광역교통망 구축, 첨단산업 유치로 지속적인 인구 유입을 유도해 2040년 동북아 8대 메가시티로 거듭나겠다는 발전 전략을 제시한 만큼 부동산 시장의 상승
[김태진 매경비즈 연구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