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왼쪽부터) 이원종 포스코건설 구매계약실장과 최재호 유진기업 부사장, 박홍은 한국기초소재 대표이사, 박현 포스코 환경기획실장이 친환경 시멘트인 포스멘트 생산 및 사용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 이후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 = 포스코건설] |
포스코건설은 지난 16일 포스코건설 송도사옥에서 포스코·슬래그시멘트 3사와 레미콘 4사 등 총 9개사와 친환경 시멘트인 포스멘트(PosMent, 포스코 고로슬래그 시멘트)의 생산 및 사용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각 사들은 슬래그 시멘트 원료의 안정적 공급과 사용을 약속하고 최적의 배합비 도출 등 포스멘트 기술개발을 위해 상호협조하기로 했다. 포스코건설은 지난해 전체 시멘트 사용량의 약 24%인 20만t을 사용했다. 올해에는 사용량을 30만t 이상으로, 내년에는 45만t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는 전체 시멘트 사용량의 약 53%에 달한다.
물과 섞어 굳히면 돌처럼 단단해지는 기존 시멘트는 주원료인 석회(탄산칼슘,CaCO3)를 구워 산화칼슘(CaO)화합물로 만든다. 생산하는 과정에서 t당 약 0.8t의 이상화탄소가 발생한다. 이에 비해 포스멘트는 원료를 굽는 과정이 필요없는 고로슬래그를 58%까지 사용하기 때문에 자극제 2%를 더하면 일반 시멘트보다 최대 60%의 이산화탄소를 저감할 수 있다. 고로슬래그는 용광로에서 쇳물을 뽑아낼 때 부원료로 사용된 석회석 등이 여러가지 반응을 거쳐 추출되는 부산물이다.
아울러 원료 채굴과 석회 가공 등 위험한 생산과정이 줄어들면서 안전사고 발생을 줄일 수 있고 시멘트 전
포스코건설 관계자는 "친환경 시멘트가 건설업계 전반에 쓰일 수 있도록 우수한 협력사들과 함께 노력하고 정부가 추진하는 '2050 탄소중립' 정책에도 적극 동참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조성신 매경닷컴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