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국토교통부 사고조사위원회가 파악한 광주 화정아이파크 붕괴 원인 |
14일 국토교통부 건설사고조사위원회(사조위)는 지난 1월 11일 광주 아파트 신축공사 현장에서 발생한 붕괴사고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 했다. 사조위는 건축구조·건축시공·법률 등 관련 분야별 전문가 12명으로 구성됐으며, 1월 12일부터 약 2개월간 사고원인을 조사했다. 조사활동은 현장조사, 관계자 청문, 문서검토 뿐만 아니라 재료강도시험, 붕괴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진행됐고, 사고 원인에 대한 집중적인 분석, 검증이 이뤄졌다.
![]() |
↑ 광주화정아이파크 붕괴과정 |
하중을 분산하는 가설지지대의 조기철거도 중요한 원인으로 꼽힌다. 사조위는 PIT층 하부 가설지지대가 조기 철거되면서 PIT층 바닥 슬래브가 하중을 단독 지지하도록 만들어 1차 붕괴를 유발했고, 이로 인해 건물 하부방향으로 연속붕괴가 이어진 것으로 봤다. 정부가 제시하는 건축공사 표준시방서상 시공 중인 고층건물의 경우 최소 3개층에 동바리 설치돼야 한다.
콘크리트 강도 역시 문제가 됐다. 사조위가 붕괴거축물에서 채취한 콘크리트 시험체의 강도를 시험한 결과, 17개 층 중 15개층의 시험체가 설계기준강도의 85% 수준에 미달했다. 콘크리트 강도 부족은 철근과 부착 저하를 유발해 붕괴 등에 대한 건축물의 안전성 저하로 이어진다.
사조위는 공사 관리 역시 부실하게 진행된 것으로 봤다. 시공 과정을 확인하고 붕괴위험을 차단해야할 감리자의 역할이 부족했던 것이다. 광주 화정 아이파크 감리자는 발주기관에 제출된 '건축분야 공종별 검측업무 기준'과 다르게 작성한 검측 체크리스트를 사용했고, 사고 원인으로 지목된 '콘크리트 가벽'에 대한 구조안전성 여부를 확인할 수 없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사조위에서는 사고원인 분석 결과에 따라 제도이행 강화와 현감리제도 개선, 자재·품질관리 개선, 하도급 제도 개선 등의 재발방지방안을 제시했다. 김규용 사조위 위원장(충남대 교수)은 "위원회는 두 달간 사
[유준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