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 당선 ◆
![]() |
증권 업계에선 차기 정부의 정책 노선으로 인해 가장 강력한 상승 모멘텀을 받을 업종으로 원전을 꼽고 있다. 10일 실제 대표적 원전주로 분류되는 두산중공업은 규제 완화 기대감에 지난 2월 바닥에서부터 38% 급반등했다. 그동안 윤 당선인은 "원전 생태계 회복을 통해 한국의 핵심 동력으로 발전시키겠다"며 탈원전 정책 폐기를 외쳐 왔다. 신한울 3, 4기 건설 재개 및 원전 비중을 30%로 유지하고 소형모듈원자로(SMR) 개발 지원을 공약했다. 원전이 아닌 화석연료 비중을 줄임으로써 탄소 중립을 달성해야 한다는 방향성을 강조한 것이다. 특히 최근 유럽연합(EU)이 원전을 천연가스와 함께 '녹색분류체계(Taxonomy·택소노미)'에 포함하면서 글로벌 정책 모멘텀이 더욱 본격화될 수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정연승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탈원전 정책 이후 축소됐던 원전 관련주의 밸류에이션(기업가치) 회복이 충분히 가능한 상황"이라며 "러시아를 향해 확대되는 국제사회의 제재는 국내 원전 업체에 좋은 기회라고 판단된다"고 밝혔다. 윤용한 유안타증권 연구원도 "원자로 설계, 증기발생기 제조, 원자로 주기기 제조 등 관련 제조업에 긍정적"이라고 밝혔다.
장기적으로 모빌리티, 블록체인, 메타버스 등 전 세계 산업 트렌드에 부합하는 신성장 동력 강화로 인한 IT 업종의 상승 동력이 발생할 것이란 평가가 나온다. 정치권에서도 해당 산업의 필요성과 성장성에 대해선 공감대가 형성된 만큼 차기 정부의 정책 모멘텀에 따라 수급이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보수 정권은 통상 규제 완화 및 기업 친화적 성향을 보이므로 신사업과 관련해 과감한 규제 완화와 투자 확대 등 조치가 나올 가능성도 주목된다. 그동안 빅테크 규제 우려로 주가가 지지부진했던 네이버, 카카오도 이날 각각 8.54%, 8.58% 반등했다.
이날 세계적인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는 보고서를 통해 "윤 당선인의 산업 정책에 대한 접근 방식은 기업 친화적인 환경 조성"이라며 "반도체, 2차전지(배터리), 인공지능(AI), 6세대 통신(6G) 등 새로운 기술 지원을 공약으로 내걸었다"고 말했다.
건설주도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윤 당선인은 임기 내 약 250만가구의 부동산 공급을 약속했는데 이 중 약 48%인 119만가구를 민간 부문 주도로 진행한다는 구상이다. 그동안 건설주는 정책적 대비가 명확한 대선 불확실성과 HDC현대산업개발의 광주 아파트 붕괴 사태로 인해 주가가 지지부진했다. 하지만 정책적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공급 확대 정책으로 인해 향후 수급 호조로 주가가 상승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주택담보대출비율(LTV) 인상, 재개발·재건축 규제 완화, 양도소득세 및 재산세 부담 완화 등 정책적 변화도 부동산 거래 활성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과거 2년간 수주·분양 성과가 양호했던 만큼 건설사들의 올해 매출이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강경태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주택 매매거래, 공급 증가로 국내 건설사의 주력 공종인 주택 도급 및 자체 개발 업황이 우상향 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며 "매매거래량 증가로 리모델링 건자재 업체 또한 수혜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자본시장 관련 대선 공약으로 윤 당선인은 주식 양도소득세를 폐지하고 증권거래세를 현행 수준으로 유지하겠다고 발표했다. 주식 양도소득세가 폐지되면 굴리는 투자금 규모가 큰 장기 투자자들에게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세금 부담 완화로 인해 일각에서 제기한 국내 증시 자금 이탈 우려도 완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새 정부 출범으로 인한 증시 부양 효과는 입증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10일 KB증권이 대선 전후
[차창희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