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0일 서울시와 금융권에 따르면 시는 11일 서울시 차기 금고를 선정하기 위한 금융기관 대상 설명회를 연다. 신한·우리·국민·하나·NH농협 등 주요 시중은행이 모두 참석할 예정이다. 시는 금융과 전산 분야 전문가, 시의원 등으로 '금고 지정 심의위원회'를 구성하고 다음달 5~11일 은행들이 제출한 제안서를 심의한다.
위원회는 이르면 다음달 중순께 2023년부터 2026년 말까지 4년간 금고를 담당할 은행을 선정해 5월에 관련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새로 행장이 취임한 국민은행과 우리은행, 기존 신한은행까지 3파전이 예상된다"며 "은행별로 모두 특장점이 뚜렷해 절대 강자가 없는 상태"라고 말했다. 서울시 금고는 한 해 운용 규모가 1·2금고 통틀어 47조7000억원으로 전국 지방자치단체 금고 중 최대다. 현재 서울시 1금고는 신한은행이, 2금고는 우리은행이 관리하고 있다. 서울시가 2018년 복수금고제를 시행하면서 이 같은 구도가 형성됐다. 은행들은 44조2000억원을 관리하는 1금고를 노리고 있다. 최대 지자체의 '금고지기'라는 명성을 통해 서울시 세입·세출을 바탕으로 수익을 낼 수 있고, 25개 자치구 금고 운영권을 따내기에도 유리해지기 때문이다.
그동안 서울시 금고는 우리은행의 독무대였다. 1915년 경성부금고 시절부터 금고지기를 담당하다가 103년 만인 2018년 신한은행에 자리를 내줬다. 당시 신한은행은 금고 선정 기준 중 높은 배점을 차지했던 서울시 출연금에서 우리은행을 따돌렸다.
신한은행에 맞서 우리은행과 신규로 진입하려는 국민은행이 차기 금고 운용 은행이 되기 위해 출사표를 던질 예정이다. 서울시의 시금고 지정 평가항목과 배점을 보면 점포나 현금자동입출금기(ATM) 등 시민 편의성이 100점 만점 중 18점이다. 우리은행은 서울시내 344곳의 점포를 운영하고 있어 국민은행(332곳)이나 신한은행(306곳)보다 많다. 우리은행은 서울시 25개구 가운데 구금고 점유율이 72%에 달해 시금고와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이원덕 신임 우리은행장이 서울시 1금고 자리를 반드시 탈환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며 "100년 운용 경험과 구금고 점유율 등을 봤을 때 뚜렷한 명분도 있다"고 설명했다.
기존 1금고 수성을 노리는 신한은행은 ATM 설치 대수에서 앞선다. 신한은행(
[문일호 기자 / 서정원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