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은 지난해 상장사 152곳에 대한 재무제표 심사·감리를 진행한 결과 83곳에서 회계기준 위반을 확인했다고 8일 밝혔다.
회계처리 위반 지적률은 54.6%로, 전년(66.4%) 대비 11.8%포인트 감소했다. 이 중 무작위 추출 등을 통해 진행된 표본 심사·감리 지적률은 34.0%로 전년(44.3%)보다 10.3%포인트 하락했다. 회계 오류를 자진해 수정한 회사 등을 대상으로 한 혐의 심사 지적률은 98.0%로 전년(97.7%)보다 0.3%포인트 상승했다.
위반 동기가 '고의'로 확인된 회사는 13곳으로 전체의 14.5%였다. '중과실'로 나타난 곳은 9곳(10.8%)를 차지했다. 이 둘을 합친 비율인 '중대 위반 비율'은 지난해 25.3%로 나타나 2019년(32.9%)과 2020년(28.2%)를 거치며 감소 추세를 보였다.
반면 전체 위반 중 '과실'이 사유로 결정된 비율은 증가세를 나타냈다. 지난해 '과실' 결정 비율은 74.7%였다. 2019년 67.1%, 2020년 71.8%에 이어 매년 오름세를 보였다.
과징금 부과 총액은 159억7000만원으로, 전년보다 65억1000만원(68%) 증가했다. 이는 외부감사법상 과징금 부과제도가 강화되면서 회사별 평균 부과금액이 증가한 영향이다. 회사별 과징금 평균 부과금액은 지난해 11억4000만원으로 전년(5억6000만원)보다 2배가량으로 늘어났다.
회계법인에 부과된 과징금은 지난해 8억4000만원으로 전년(2억7000만원)보다 증가했다. 상장사
금감원은 "심사·감리를 진행한 결과 회계 실태가 일부 개선됐으나 여전히 위반비율이 높게 나왔다"며 "회사는 내부통제 절차를 강화하고, 감사인은 재무제표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더욱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명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