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는 메타 주가가 하루만에 26.39% 폭락한 결과 회사 시가 총액이 2510억 달러(약 301조 원) 쪼그라들었다. 전날 장 마감 후 발표한 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을 크게 밑돌자 투자자들이 앞다퉈 주식을 내다 판 결과다. 다만 저점 매수세가 일부 유입 되면서 시간 외 거래에서는 1.55% 올라섰다.
분위기를 이어 'BMO 마이크로섹터스 FANG+ 인덱스 3X 레버리지 상장지수증권(ETN)'(종목코드 FNGU) 시세도 하루 만에 15.89% 급락했다가 시간 외 거래에서 7.57% 상승했다. FNGU는 캐나다 투자은행인 몬트리올 뱅크(BMO)가 내놓은 상품이다. 메타를 비롯해 '온라인 스트리밍(OTT) 대장주' 넷플릭스(NFLX), '구글 모 회사' 알파벳(GOOG), 애플(AAPL), 아마존(AMZN), 테슬라(TSLA) 등 빅테크 기업 주가를 3배로 추종한다. 고위험 고수익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한국 투자자들 사이에서도 매수 인기를 끌어왔다.
앞서 2일 메타는 지난 분기(10~12월) 영업이익(125억8500만달러)이 1년 전보다 1.5% 줄어든 결과 주식 1주당 순이익도 3.67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레피니티브가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3.84달러)를 밑도는 성적이다. 게다가 사상 처음으로 페이스북 일간 활성 사용자(DAU·19억3000만명) 수가 감소했다는 점, 앞으로의 전망도 기대에 못 미친다는 평가가 따랐다. 메타는 올해 1분기(1∼3월) 매출 전망치를 270억∼290억달러로 잡았는데 이는 전문가 전망치(평균 301억5000만달러)보다 적다.
이런 가운데 투자자들이 아마존·스냅 발 기술주 훈풍을 기대한 결과 4일 아시아 증시에서는 나스닥100지수 선물이 오전 중 2% 가까이 올라서기도 했다. 나스닥100지수는 나스닥거래소에 상장된 우량 기술 기업 100개곳의 주가를 따르는 지표다.
다만 올해는 전반적으로 기술주 변동성이 크다는 예상이 지배적이다. 월가에선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해에만 기준 금리를 5번 올릴 것이라는 전망이 다수를 이루고 있는데 이처럼 금리가 빠르게 오르는 경우 대출 원리금 부담이 큰 기술 기업 등 성장 부문 기업들의 수익성이 예전만 못할 것이라는 계산이 서기 때문에 투자자들의 주식 매도세가 커지기 때문이다. 성장 기업들은 당장 매출이나 이익이 적자 상태이기 때문에 회사채 신용등급이 낮고 이 때문에 상대적으로 높은 이자를 제시하고 채권을 발행한다. 연준은 국제 유가가 뛰고 고용·물류 대란(운송·운임 비용 및 임금 상승) 영향이 이어져 인플레이션 압박이 커진 탓에 기준 금리 인상 뿐 아니라 양적 긴축(QT)도 예고한 상태다. 시중 돈줄을 조여 인플레이션을 잡겠다는 취지에서다.
실제로 올해만 보면 가치주가 성장주에 비해 낙폭이 적어 '선방했다'는 평가 가능하다. S&P 500 상장 기업 중 가치주에 투자하는 대표적인 상장지수펀드(ETF) '뱅가드 S&P 500 밸류 인덱스 펀드'(VOOV)는 연중 시세 변동률(올해 1월 3일~2월 3일)이 -1.72%다. 같은 기간 S&P 500 지수(-6.65%)보다 하락세가 덜하다. 반면 성장주에 투자하는 '뱅가드 S&P 500 그로쓰 인덱스 펀드'(VOOG·-10.79%)는 낙폭이 두드러졌다.
다만 내년 이후를 보면 평가가 달라질 수 있다. 3일 현지 매체 배런스가 팩트셋 집계를 인용한 바에 따르면 월가 전문가들은 올해 뉴욕증시 가치주 주당 순이익이 1년 전보다 10.5% 증가해 성장주(7.0%)를 앞지를 것을 보고 있다. 반면 올해 이후 2년 동안을 보면 전문가들이 예상한 가치주 주당 순이익 증가율은 9.0%에 못미치는 반면 성장주의 경우는 12.0%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올해 미국 경제 성장율(실질 국내 총생산 기준)이 3.9%에서 오는 2024년 2.0%선으로 떨어질 것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성장주에 투자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분석도 따른다.
가치주란 기업 가치에 비해 주가가 싼 주식을 말한다. 성장주는 회사의 현재 실적이 아닌 미래 성장 가능성을 반영해 당장의 기업 가치 대비 주가가 더 비
[김인오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