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한카드는 자사의 빅데이터 연구소는 올해 소비 트렌드의 주요 키워드로 '언락(U.N.L.O.C.K)'을 제시했다고 19일 밝혔다.
언락은 '다시 문밖에서 생활(Unbinding In-door)', '새로운 가족형태의 시대(Neo-Family)', '지역 경제의 부상(Local Economy'), '일상으로 스며든 프리미엄(Ordinary Premium)', '사라진 경계(Cracking Border)', '지속 가능한 삶(Kick off Sustainability)'등 6가지 요소를 주요한 소비 키워드의 앞글자를 딴 단어다.
먼저 신한카드는 코로나19 시대 누적된 활동 제약의 피로감이 역동적으로 즐기는 스포츠와 탁 트인 자연에 관심을 갖게 했다고 설명하며 '다시 문밖에서 생활'을 끼워드로 꼽았다고 설명했다. 실제 신한카드가 지난 2020년 1~9월까지와 2021년 동기간의 이용 건수 증감율을 비교해본 결과 코로나 이후 큰 인기를 끌던 홈트 이용은 지난해 7%로 소폭 감소한 반면, 집 밖에서 즐기는 스포츠인 골프는 14%, 서핑은 40%, 테니스는 157%, 클라이밍 관련 결제는 183%까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한카드가 두번째로 꼽은 키워드는 새로운 가족형태다. 신한카드는 코로나 이후 불안한 일상이 지속되면서 정서적으로 의지할 수 있는 가족의 의미가 강조됐다고 설명했다. 특히 다양한 반려 대상으로 구성된 새로운 형태의 애착 가족인 네오팸(Neo-Family)이 부상하는 것에도 주목했다.
세번째는 지역 경제다. 신한카드는 라이프스타일과 취향이 세분화되면서 지역 및 동네 고유의 희소성을 담은 상품 · 서비스와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신한카드는 지난해 화두였던 명품 소비의 변화에도 주목했다. 더 이상 명품은 고가 브랜드의 옷과 가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일상 생활용품의 영역에도 번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 의미에서 '일상으로 스며든 프리미엄'을 키워드로 꼽았다.
연령, 성별, 시간, 산업간 그리고 현실과 가상 사이의 경계가 사라지는 점에도 주목할 만 하다. 또 메타버스의 등장으로 가상과 현실의 경계가 사라지는 현상과 이종 산업간 경계를 넘나드는 '말표 맥주'와 같은 이색적인 콜라보도 보더리스의 또 다른 예로 신한카드는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신한카
[최근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