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 연합뉴스] |
올해부터 분양대금에도 차주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적용되는 등 대출 규제가 대폭 강화된 만큼, 공급이나 입주 물량이 많은 곳을 중심으로 미분양 물량이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섞인 전망이 나온다.
5일 한국부동산원의 청약홈에 따르면 작년 12월에 공급된 대구·경북 등 지방 아파트 단지에서 무더기 미달 사태가 발생했다. 지난달 14∼16일 청약을 받은 '해링턴 플레이스 감삼 3차'(대구시 달서구 감삼동)는 특별공급을 제외한 358가구 청약에서 1·2순위까지 모두 85명만 신청해 모집가구수 대부분이 미분양으로 남았다. 같은 기간에 청약을 진행한 대구시 동구 효목동 '동대구 푸르지오 브리센트'도 2순위까지 미달 물량이 상당수 나왔다.
또 지난달 13∼15일와 8∼10일에 각각 청약을 실시한 '남포항 태왕아너스'와 '포항 한신더휴 펜타시티'도 비슷한 상황이다.
다른 지방에서도 청약 미달 단지가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달 21∼22일 청약한 '덕하지구 뉴시티 에일린의 뜰 2차'(울산 울주군 덕하지구, 967가구)는 7개 주택형 중 3개 주택형이 주인을 찾지 못했다. 비슷한 시기 청약을 받은 '사천 엘크루 센텀포레'와 '익산 더반포레', '구례 트루엘 센텀포레' 등도 최종 미달됐다.
이는 수도권과 공공택지에서 공급되는 아파트가 여전히 높은 경쟁률로 마감되는 것과는 다른 모습이다.
부동산R114 조사 자료를 보면 작년 4분기 전국에서 분양된 707개 단지 중 미달이 발생한 단지는 총 117곳으로 전체의 16.5%에 달했다. 이는 569개 청약 단지 가운데 50개가 미달된 지난해 3분기(8.8%) 대비 청약 미달 단지 비율이 2배에 육박한다.
지난해 1분기(6.8%)는 물론이고 2분기의 10.7%와 비교해도 높은 수준으로, 연중 최고치다. 특히 지방은 4분기 439개 청약 단지 중 117곳에서 미달돼 미달 단지 비율이 26.7%에 달했다.
반면, 지난해 4분기 268개 단지가 공급된 수도권(서울·경기·인천)에서는 미달 단지가 단 한 곳도 없었다. 다만, 단지별 청약경쟁률은 작년 3분기 평균 24.38대 1에서 4분기 17.49대 1로 떨어졌다. 4분기 경쟁률은 지난해 전 분기를 통틀어 가장 낮다.
청약 미달 단지가 증가한 이유는 올해부터 아파트 중도금, 잔금 대출까지 차주별 DSR 산정에 포함되는 등 대출 규제가 강화된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대선·지방선거 시즌을 피하기 위해 건설사들이 지난 연말에 공급 물량을 늘린 것도 또 다른 원인으로 지목된다.
더욱이 최근 대구·세종 등지의 일부 아파트값이 떨어지기 시작하고 수도권 상승세의 꺾임세가 확연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나온다.
수도권은 여전히 높은 청약 경쟁률을 유지하고 있지만 최근 들어 미계약 사례들이 늘어나고 있다. 작년 11월 공급된 '송도자이더스타'는 1순위 청약에서 1533가구 모집에 2만156명이 몰리며 평균 1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하지만, 최근 당첨자 정당 계약에서 35%가량인 530여 가구가 계약을 포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계약 포기자들 다수가 청약 부적격자지만, 일부는 신용대출 문제로 계약금 마련이 어려워 계약을 포기했다고 해당 사업장 분양 관계자는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대출 규제 강화로 지역별·단지별로 청약 미달 또는 미계약 단지가 늘어나는 '청약 양극화'가 심화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차주별 DSR 적용 대상도 상반기까지는 총대출액이 2억원 이상이지만 7월부터는 1억원 이상으로 더 강화된다. 기존 대출이 있는 계약자들은 중도금과 잔금 마련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청약 또는 계약 포기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정부 주도의 수도권 공공택지 사전청약 물량이 올해 총 7만 가구로 지난해보다 2배 이상 늘어나는 점도 민간 청약시장에서는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최근 주택 거래가 급감하고 가격도 일부 하락 전환되는 등 상승세가 꺾이면서 지역에 따라 청약 심리도 주춤해지는 모양새"라며 "올해 인기 지역에는 청약이 쏠리고 비인기지역이나 고분양가 단지는 외면받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조성신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