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일부 대기업들의 재무건전성에 빨간불이 켜졌다. 은행에서 받은 대출 규모가 큰 대기업 집단 32곳 중 7곳의 재무건전성이 취약해 주채권은행으로부터 관리를 받기로 한 것으로 확인됐다.
15일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금감원이 주채무계열로 선정한 32곳 중 7곳이 주채권은행과 재무구조개선약정을 체결하고 3년간 관리를 받기로 한 것으로 파악됐다. 약정을 체결한 대기업 집단의 명단은 공개되지 않았다. 금감원은 "은행은 주채무계열의 재무구조평가, 약정 체결 등과 관련된 내용에 대한 비밀 유지 의무가 있다"고 밝혔다. 주채무계열은 작년 말 기준 총차입금이 1조9190억원 이상이면서 은행권 신용공여 잔액이 1조1억원 이상인 대기업집단을 의미한다. 주채무계열엔 현대자동차, 삼성, SK, 롯데를 포함해 국내 굴지의 대기업집단이 모두 포함됐다. 32개 주채무계열에 속한 총기업체 수는 5096곳이다.
은행과 재무구조 개선을 약정한 주채무계열은 올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무구조가 취약한 것으로 평가된 계열은 2019년 4곳, 2020년 4곳에서 올해 7곳으로 증가했다. 작년에 비해 주채무계열로 선정된 대기업군이 4곳 늘어나긴 했지만, 약정을 맺은 계열 수도 동일한 숫자로 늘어난 것은 그만큼 대기업들의 재무 구조가 취약해졌다는 의미다. 채권 은행은 주채무계열을 대상으로 재무제표의 건전성 평가와 함께 경영진의 위법행위, 공정거래법 위반 및 분식회계, 우발채무 위험 등 잠재 리스크까지 종합적으로 평가해 약정을 체결한다. 특히 올해부터는 연결재무제표를 기준으로 재무구조평가를 실시해 해외부문 재무상태와 실적을 반영하고, 부채 비율 200~300% 구간은 기준점수를 세분화해 평가했다.
매일경제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올해 3분기 기준 주채무계열에 속한 주기업체 32곳의 부채 비율(부채/자본)을 측정해본 결과 200%가 넘는 곳이 총 8곳인 것으로 나타났다. IMF 외환위기 때는 기업건전성을 평가하는 척도로 부채 비율 200% 선이 일괄적으로 적용됐다. 이처럼 부채 비율이 높다는 것은 일단 기업 재무상태의 '적신호'로 받아들여진다. 부채 비율이 높은 업종은 주로
[김유신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