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 연합뉴스] |
19일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이 발표한 입주경기실사지수(HOSI)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미입주 사례 중 34.1%가 잔금대출 미확보 때문으로 나타났다. 전월(26.7%) 대비 7.4% 포인트 늘어난 수치로, 미입주자 10명 중 3명은 잔금대출을 받지 못해 새 아파트에 입주하지 못한 셈이다.
잔금 대출을 확보하지 못했다는 응답 비율은 2019년 12월 18.8%에서 지난해 6월 24.3%·12월 24.2%, 올해 6월 28.8%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다.
잔금대출(집단대출)은 아파트 등기가 나오기 전에 시공사(시행사) 연대보증이나 후취담보 등을 통해 실시된다. 반드시 은행과의 협약도 해야한다. 아파트라는 우량자산을 담보로 대출이 나오는 만큼, 과거 입주를 앞둔 단지에는 시중은행들이 너도나도 천막을 치고 저금리로 대출을 지원하겠다고 홍보하는 경우가 많았다.
↑ 전국 아파트 미입주 사유 중 잔금대출 미확보 추이 [자료 = KHI, 단위 = %] |
이는 대출한도를 꽉 채운 은행의 대출 여력이 줄었기 때문이다. DSR 2단계 규제 시장 전이지만, 중도금 대출을 진행했던 은행에서 '잔금 대출까지는 어렵다'면서 거절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지난 1일 입주를 시작한 대전 유성구의 한 아파트 입주자들은 하나·신한·농협은행 등 시공사가 협약을 맺은 은행을 통해 중도금 대출을 지원받았다. 하지만, 일부 은행에서 잔금대출을 거절하거나 선착순으로 대출을 지원하는 바람에 신협·수협 등 2금융권의 상담창구에 사람들이 몰려 북새통을 이뤘다고 알려졌다.
이 단지 주변의 한 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입주 예정자들 사이에는 대출 한도가 줄어 전세로 돌리려는 사람들이 넘쳐난다"면서 "입주 마감일까지 한 70% 정도 입주하면 성공이라는 소리가 나온다"고 전했다.
김운철 리얼투데이 대표는 "가계대출 총량관리 대상에 잔금대출이 포함되면 경우에 따라서는 잔금대출 자체
[조성신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