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제공 = 연합뉴스] |
집 때문에 빚을 내는 청년층이 많다는 것인데,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소득 또는 저신용 차주 비중도 다른 연령층보다 높았다.
한국은행은 24일 발표한 '금융안정 상황(2021년 9월)'에 수록한 '최근 청년층 가계부채 현황 및 평가'에서 이같이 밝혔다.
20~30대 청년층의 가계부채 비중은 코로나19 이후 크게 확대, 지난해 말 기준 전체 가계부채의 27.0%까지 상승했다가 올 2분기 26.9%를 기록했다. 또, 청년층의 가계부채 증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올 2분기 12.8%로, 여타 연령층의 7.8%를 크게 웃돌았다.
특히 청년층 가계대출의 경우 은행권을 중심으로 빠르게 증가해 올 2분기에는 은행권 대출이 전체 대출의 69.8%를 차지했다.
정부와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규제로 은행권 대출이 막힌 청년층이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2금융권으로 이동하는 '풍선효과'도 나타나면서 비은행권 가계대출 증가율은 올 1분기 8.6%에서 2분기 13.5%로 뛰었다.
↑ [자료 제공 = 한국은행] |
높은 전세값의 영향으로 청년층의 전세자금대출은 전년 동기 대비 20%대 증가율을 지속했다. 20~30대의 전세자금대출 증가율은 올 2분기 중 21.2%를, 앞서 지난 2019년에는 30.5%, 지난해는 29.5%를 각각 보였다.
이에 따라 청년층의 가계부채 증가 기여율은 2018~19년 30.4%에서 지난해 이후 올 2분기까지 41.5%로 확대됐다. 이 가운데 주담대 및 신용대출 기여율은 각각 1.5%→6.6%, 8.3%→13.7%로 커졌다.
한은은 "주택가격 상승세가 지속되고 청년층의 주택매입 거래가 늘어나면서 주담대도 증가했다"며 "올 상반기 수도권 아파트 매매거래 중 청년층의 거래 비중이 36.6%를 차지했다"고 설명했다.
영끌(영혼까지 끌어모다 대출), 빚투(빚내서 투자) 열풍 속 청년층의 신용대출 증가율도 가팔랐다. 20~30대 신용대출 증가율은 지난해 이후 여타 대출보다 빠르게 상승해 올 2분기에는 1년 전 대비 20.1%를 나타냈다.
금융기관에서 3건 이상 빚을 낸 다중채무자이면서 소득 하위 30% 또는 신용점수 664점 이하인 청년층 취약자주 비중은 감소세를 지속해 올 2분기 6.8%까지 떨어졌지만, 저소득 차주 비중은 올 2분기 24.1%로 여타 연령층의 14.4% 대비 높았다.
[전종헌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