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설업계 아우성 ◆
↑ 철근 부족 대란이 계속되는 가운데 21일 서울 마포구의 한 건설 현장 바닥에 철근 다발이 놓여 있다. [한주형 기자] |
21일 서울 마포구의 한 오피스텔 신축 공사장. 철근을 가득 실은 트럭이 현장으로 들어가는 모습을 바라보던 현장 관리 직원 A씨는 "어렵게 철근을 구해 공사를 다시 시작할 수 있게 됐다"며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 그는 "얼마 전까지는 웃돈을 주고도 철근을 구할 수 없어 20여 일간 공사가 중단됐다"며 "공사를 다시 시작하게 된 것만 해도 다행"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급등한 철근 가격은 부담스럽다. A씨는 "철근값이 예전의 2.5배 정도 올랐다"며 "발주 업체가 공사비를 올려줄 것 같지도 않고 결국 시공업체가 손실을 떠안게 될 것"이라고 푸념했다.
전국 곳곳의 건설 현장이 멈춰 서거나 막대한 비용 부담에 고통받고 있다. 건설 자재 공급이 원활히 이뤄지지 않고 있는 데다 건설 관련 노조 파업까지 잇따르면서다. 특히 자금력이 약한 중소 건설업체들의 피해가 커질 전망이다. 21일 대구광역시에 따르면 현재 철근 부족으로 인해 공사에 차질을 빚고 있는 대구시내 공공발주 공사 현장은 7곳에 이른다. 대구도시철도 2호선 죽전역 서편 출입구 공사는 올 1월부터 3개월간 철근 공급이 중단돼 준공 예정일이 당초 5월에서 9월로 4개월이나 미뤄졌고 신천생태하천 복원 공사도 지난 4월 말부터 최근까지 철근 공급이 중단돼 공사에 차질을 빚고 있다.
이런 문제는 대구뿐만이 아니다. 국토교통부가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6월 초 기준 철근 납품 지연으로 공공발주 공사가 지연된 사례는 전라남도 72곳, 경상남도 50곳, 전라북도 47곳, 강원도 46곳 등 전국적으로 338곳에 이른다. 공사 기간이 연장된다는 것은 결국 중소 하도급업체들이 이자비용과 임대료 등을 모두 떠안게 된다는 뜻이다. 이에 대해 전북 지역의 한 중소 건설사 대표B씨는 "공사 중단 현황을 밝히지 않은 소규모 건설 현장들까지 포함하면 이보다 훨씬 많은 현장이 철근 부족으로 공사가 중단되는 경험을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철근값 급등으로 처음 계약한 공사비대로 공사를 할 경우 수지 타산을 맞출 수가 없다"며 "공사를 하면 할수록 손해가 나는 구조여서 중도에 포기하는 업체도 있다"고 말했다.
최근 상승세를 멈췄던 철근값이 다시 들썩일 조짐을 보이는 점도 문제다. 지난주부터 철근 제조에 사용되는 '철스크랩', 즉 고철의 국내 유통 물량이 급감했기 때문이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지난주 발생한 광주 철거 현장 붕괴 참사로 전국 철거 현장들이 관리감독 강화 전까지 모든 철거 작업을 일시 중단하면서 국내에 유통되는 철스크랩 물량이 뚝 끊겼다"며 "실제로 철근을 구하지 못하거나 높은 철근값을 감당하지 못해 작업을 멈춘 건설 현장이 전국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2019년 기준 국내에 공급된 철스크랩 물량은 약 3000만t 규모인데 이 중 절반 이상이 건물 철거 현장과 폐차장에서 나온다. 따라서 광주 사고 이후 정부가 대규모 철거 현장의 작업을 일시 중지시키자 철스크랩이 자취를 감춘 것이다. 대한건설협회는 내부 보고서를 통해 "당분간 신규 철거 대상 지역의 작업 승인이 지연될 가능성이 클 뿐 아니라 중국의 철스크랩 수입 확대로 국제적인 철스크랩 부족 현상도 이어질 것"이라며 "사재기 단속 등 정부의 대책에도 불구하고 철근·형강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건설 관련 노조들의 파업 예고도 건설업체들 입장에서는 큰 부담이다. 앞서 레미콘 노조는 정부가 레미콘 믹서 차량의 신규 시장 진입을 허용할 경우 총파업에 나서겠다고 예고한 상태다. 이와 동시에 레미콘 노조는 지역별로 해당 지역 레미콘 회사들과 운임단가 조정 협상을 진행 중이다. 운임 인상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언제든 파업이 가능한 상황이다. 화물연대 역시 노조의 요구 조건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파업에 나설 예정인데 이 경우 시멘트 등 건설 자재 유통에 문제가 생기게 된다.
대한건설협회 관계자는 "자금 여력이 풍부한 대형 건설사들은 큰 문제가 없지만 중소 건설사들은 자재값 급등에 파업으로 인한 공기 지연 문제까지 겹치면 버텨낼 방법이 없다"며 "자재값 안정과 건설 관련 노조의 파업을 막기 위한 정부 차원의 대책이 계속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철강 업체의 철근 생산을 최대한 늘리고 공공 공사가 철근 수급 문제로 지연될 경우 지체보상금을 면제하는 등의 조치
[김동은 기자 / 이축복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