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의 대표적인 도시재생지역인 종로구 창신·숭인동 일대 전경 [매경DB] |
서울시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2세대 도시재생'을 시작한다고 17일 발표했다. 기존 도시재생 유형은 4가지에서(경제기반형, 중심시가지형, 일반근린형, 거점확산형)은 2가지로(중심지 특화재생, 주거지 재생) 줄어든다.
시는 도시재생구역 중 기반시설이 열악한 경우 민간주도 재개발사업이 추진될 수 있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그간 서울시는 재생사업으로 예산을 투입한 경우 민간 재개발은 물론 공공재개발도 불가능하다고 선을 그어왔다.
이번 서울시 결정으로 도시재생구역 중 창신숭인, 가리봉, 장위동 등에 적용한 주거지 재생형 32곳에서 민간 재개발을 추진할 수 있을 전망이다. 강대선 창신동 재개발위원장은 "최근 서울시에서 발표한 민간 재개발 공공기획과 공공재개발을 견준 후 사업 유형을 선택할 계획"이라고 했다.
도시재생구역 주민들은 서울시 정책 변화에 환호하는 모양새다. 벽화 제작·계단 정비 등 구역에 시 예산이 투입됐다는 이유로 그간 주민 의사와 다른 개발 방식을 요구받았다는 맥락에서다. 서울·경기 도시재생 반대연합 관계자는 "그간 정치권에서 현실성 없는 허황된 말로 주민들을 호도하고 편가르기를 유도해 의도적으로 개발을 방해해왔다"고 했다.
도시재생구역에 오 시장 공약인 '모아주택' 및 가로주택·자율주택 등 소규모 정비사업도 적용한다. 모아주택은 소규모 필지를 보유하고 있는 토지주들이 지하주차장 확보가 가능한 면적(500㎡) 이상을 모아서 공동주택을 지으면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사업이다. 시는 정비구역 내 주민편의시설을 공유하고 도로·공원 등 기반시설을 조성해 정비사업 여건을 조성할 계획이다. 대상 사업지로는 시흥 뉴타운 해제 이후 노후화된 금천구 일대 다세대·다가구 주택지가 거론된다.
서울시는 대규모 민간 주도개발과 도시재생을 혼합한 복합개발도 추진해 지역 일자리 창출에도 나선다. 시범 사업지로 김포공항 일대 43만㎡를 선정해 현재 주차장·창고로 이용하는 땅을 항공 관련 신산업·물류거점으로 키우기로 했다. 3만5000명 이상 일자리를 만드는 동시에 인근 노후화된 다세대·다가구 주거지 및 마곡지구와 연계한 개발 가이드라인도 수립할 전망이다.
민간에서 도시재생 사업비 대부분을 충당하기로 하면서 민간 의사가 적극적으로 반영될 전망이다. 서울시는 '2세대 도시재생'으로 2026년까지 총7조9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는데
다만 서울시는 도시재생 신규 지역 선정보다는 기존 사업 마무리에 방점을 찍기로 했다. 재생사업을 원하는 지역은 주민의견을 꼼꼼히 따져 신규 지정한다는 의미다.
[이축복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