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시내 아파트 모습 [사진 = 한주형 기자] |
28일 조세재정연구원이 공개한 '주요국의 부동산 관련 세(稅) 부담 비교'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부동산 거래세수가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 8개국 중 가장 컸다. 양도소득세는 과세대상 범위와 세율 외에 자산가격의 수준과 변화율 등이 달라 비교 대상에서 배제됐다.
연구원은 OECD 세금 데이터베이스에 담긴 한국 포함 주요 8개국(미국·영국·프랑스·독일·일본·캐나다·호주)의 부동산 관련 세 부담을 비교해 2019년 기준 한국의 GDP 대비 거래세수 비중을 1.8%로 분석했다. 이는 주요 8개국 평균(0.7%)의 2.5배, OECD 37개국 평균(0.4%)의 4.5배에 달했다.
국내의 1주택자에 대한 취득세율은 취득가액에 따라 1~3%로, 일본(표준세율 4%)과 독일(지역에 따라 3.5% 이상)에 비해 낮다. 하지만, 다주택자에겐 8·12%의 높은 세율을 적용하는 등 보우 주택수에 따른 세율격차가 크다.
잦은 주택거래와 높은 부동산 가격도 잦은 것도 세수를 끌어 올리는 요인으로 지목됐다. 2017년 기준 한국의 주택매매회전율은 5.5%로, 미국 4.5%, 영국 3.6%, 프랑스 2.7% 등에 비해 높고, GDP 대비 부동산 총액도 주요 8개국 평균인 4.1배보다 높은 5.3배로 조사됐다.
다만, 보유세는 주요국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한국의 GDP 대비 보유세수 비율은 0.85%로 8개국 평균(2.17%)의 39% 수준에 그쳤다. 부동산자산 총액 중 보유세액을 나타내는 보유세 실효세율도 한국은 2018년 기준 0.16%로 8개국 평균인 0.53%의 1/3 수준을 보였다.
다만 한국의 보유세 실효세율은 0.15%(2017년), 0.16%(2018년), 0.17%(2019년)로 매년 0.01%포인트씩 상승
조세연구원 관계자는 "한국은 주요국에 비해 보유세 실효세율은 낮고 GDP 대비 부동산 총액이 높은 편"이라며 "거래세는 외국에 비해 높은 데 이는 거래빈도가 높은 데다 비싼 부동산 가격이 영향을 준 것 같다"고 말했다.
[조성신 매경닷컴 기자 robgud@mk.co.kr]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