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제공 = 연합뉴스] |
신용점수가 곧 돈인 시대다. 신용점수에 따라 대출 이자율이 달라지기 때문인데, 1점이 아쉬운 신용점수 거저 먹는 법을 소개한다.
2일 국내 개인신용평가회사 코리아크레딧뷰로(KCB)에 따르면 비금융정보를 활용하는 '신용성향설문'에 참여하면 신용점수를 올릴 수도 있다.
KCB가 운영하는 신용성향설문은 1부 25문당, 2분 89문항으로, 참여하는데 필요한 시간은 20분 정도다. 신용점수를 올리는데 설문에 참여하는 성실함과 시간만 있으면 된다.
설문을 마치면 결과를 바로 확인할 수 있으며 가점이 있다면 실시간으로 신용점수에 반영한다. 다만, 현재 대출 연체가 있어나 최근 1년내 연체 이력이 있으면 설문에 참여해도 신용점수가 오르지 않는다.
KCB가 서울대학교 심리학과와 공동 개발한 신용성향설문은 평가 대상의 자기통제, 위험감수 등의 심리성향을 계량화하고 이를 신용평가에 반영해 가점을 부여하는 방식이다.
이외 비금융정보로 공공요금(도시가스, 수도, 전기 등), 국민연금, 통신요금, 건강보험 납부 이력 정보를 비롯해 연봉 등 소득 정보를 개인신용평가회사에 등록해도 신용평가에 가점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비금융정보 등록은 국내 양대 개인신용평가회사격인 나이스평가정보와 KCB 모두 가능하다.
실제 KCB에 따르면 건강보험 납부 정보 등록으로 올해 3월말 기준 최근 1년간 부여한 신용점수 가점은 213만6962점으로 나타났으며, 국민연금 납부 정보 등록자는 94만6143명이 신용점수 상승을 경험했다. 지난 2월에는 5만9558명이 소득 정보 등록으로 20점 이상 신용점수 가점을 받았다.
소득 정보의 경우 등록하면 무조건 가점을 주지는 않지만 국민연금, 통신요금, 건강보험 납부 이력 등 다른 비금융정보와 종합 평가를 통해 가점을 더 부여할 수도 있다. 통상 연봉이 오르면 신용여력이 상승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평소 국세, 지방세 등 세금을 성실하게 납부해 국체청에서 모범납세자 증명서 발급이 가능하다면 이를 활용하는 것도 신용점수에 도움이 된다. 개인신용평가회사는 신용평가 요인 중 신용성향에 있어 세금 성실납부 정보를 약속이행 가능성을 판단하는 지표로 사용한다.
신용점수란 개인의 금융거래 정보를 바탕으로 향후 연체가 발생할 가능성 등을 통계적인 방법으로 분석해 산출하는 평가체계다. 지난해까지는 1~10등급으로 산출했지만 올해부터는 등급제가 1000점 만점의 점수제로 변경, 대출심사 등에 활용한다. 신용점수가 높을수록 은행 등 제도권 금융회사에서 대출을 받는데 제약을 덜 받으며 금리도 낮게 받을 수 있다.
비금융정보 등록을 최대한 활용해 신용점수에 가점을 받았다면 그 다음은 신용점수를 관리해야 대출 등이 필요할 때 보다 낮은 금리로 이용할 수 있다.
신용점수 관리에 가장 중요한 것은 연체 여부다. 때문에 대출이나 통신요금, 공공요금, 세금 등을 연체해서는 안된다. 휴대전화 이용요금, 아파트관리비 등도 연체할 경우 신용점수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소액연체도 마찬가지다. 물론 연체 기준이 단기의 경우 30만원(30일 이상), 장기일 경우 100만원(3개월 이상)으로 바뀌었지만, 소액이라도 연체를 하면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만약 급히 신용카드를 발급해야 할 상황이라면 소액연체 이력만으로도 카드사가 거절할 수 있다.
과소비를 덜 하기 위해 신용카드 한도를 무턱대고 줄이는 것도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개인신용평가회사가 신용카드 이용액에 따라 '한도 대비 부채 수준이 높다'고 평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신용카드는 한도 대비 50% 미만으로 사용하는 것이 신용관리에 도움이 된다.
오래 사용해온 신
[전종헌 매경닷컴 기자 cap@mk.co.kr]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