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겟데이터펀드(TDF) 시장이 퇴직연금 자금 유입에 힘입어 큰 폭으로 성장하면서 그 인기가 고공행진 중이다.
금융투자협회가 22일 발표한 TDF 시장 동향분석 결과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TDF 수탁고는 5조2000억원을 기록해 전년 말(3조3000억원) 대비 56.8% 증가했다.
특히 이 중 퇴직연금에서 유입된 자금은 3조2000억원(61.6%)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DF가 저금리 환경에 따른 수익률 부진으로 지친 퇴직연금 투자자들 사이 필수 상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셈이다.
이러한 양적 성장과 더불어, 자산운용사 간 경쟁이 심화되면서 보다 다양한 상품이 출시되고 가입자의 선택지가 확대되는 등 질적인 측면의 성장도 동시에 촉진되고 있다.
TDF 도입 초기에는 해외 운용사 제휴형 TDF 위주로 출시되었으나, 최근에는 국내 직접 운용형 TDF, ETF 등 패시브 펀드를 활용한 저비용 TDF 등으로 상품의 스펙트럼이 확대되고 있다 .
증시 호황기였던 2020년 TDF의 평균 1년 수익률은 9.7%로 글로벌 증시상승장(MSCI: 14.3%)에서 국내외 지수를 추종하며 우수한 수익률을 실현했다. 반면 증시 조정기였던 2018년 TDF의 평균 1년 수익률은 -7.4%로 증시 하락폭(MSCI: -11.2%) 대비 우수한 방어력을 보였다.
한편 최근 3년(2018~2020년)간 변동성 역시 증시 대비 낮게 나타나 안정적인 장기 수익률을 창출해야하는 '연금상품'으로서그 적합성을 입증해내고 있다.
이와 같이 TDF는 글로벌 자산배분을 통해 호황기에는 수익창출, 조정기에는 분산효과로 인한 리스크 관리 능력이 탁월하다. 또 은퇴시점이 다가올수록 자동으로 변동성을 낮게 관리하는 구조로 설계되어 미국 등 연금 선진국에서는 대표적인 퇴직연금 디폴트옵션 상품으로 채택되고 있다.
미국의 경우 적격 디폴트옵션(QDIA, Qualified Default Investment Alternatives) 1조2000억 달러 중 약 87%인 1조 달러가 TDF로 운용되고 있으며, 호주의 경우 적격 디폴트옵션(Mysuper) 8000억 호주달러(AUD) 중 약 40%인 3000억 호주달러가 TDF와 유사한 라이프사이클 펀드로 운용되는 등 노후 재산증식을 위한 상품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도 연금 가입자들이 수익률에 민감해지면서 본격적으로 실적배당상품으로의 연금 머니무브가 진행되
[문가영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