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구로구의 한 준공업단지 모습. <사진=정석환 기자> |
정부가 '2·4 부동산 대책'을 통해 준공업지역 고밀도 개발의 뜻을 밝혔지만 사업 진행이 순탄치 않을 전망이다. 노후화된 해당 지역의 정비사업에 대한 공감대는 높지만 이해 관계가 첨예하게 얽혀있고, 공공으로 진행될 경우 현지 주민들 찬반이 엇갈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지난 6일 찾은 서울의 대표적 준공업지역인 신도림293 일대는 각종 소규모 공장과 식당, 저층 빌라가 혼재해 오랜 시간 개발의 손길이 닿지 않은 곳임을 짐작케 했다. 인근의 한 공인중개사는 "이 지역은 예전에 우선정비구역으로 선정돼 2·4 부동산 대책하고는 무관해 별 반응이 없다"면서도 "이런 곳은 여러 시설이 복잡하게 섞여있어서 주민들 동의를 얻는게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 서울 구로구의 한 준공업단지 모습. <사진=정석환 기자> |
변창흠 국토교통부 장관은 2·4대책 발표 이후 방송을 통해 "구로나 금천, 영등포 등 준공업지역의 경우 무질서하게 입지해 있는데, 잘 활용하면 충분히 많은 주택을 지을 수 있다"고 밝히는 등 취임 이후 준공업지역 개발을 강조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이번 대책을 통해 2025년까지 도심공공주택복합사업을 통해 전국 준공업지구에 1만2000호(서울 6000호)의 신규 부지를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이같은 방침에도 인근 부동산 시장은 조용한 모양새다. 주택공급만 이뤄질 경우 기존 주민들 동의를 얻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 서울 구로구의 한 준공업단지 모습. <사진=정석환 기자> |
공공 주도로 재건축이나 재개발이 진행되는 점에 대한 우려도 존재했다. 한 재건축 추진위 관계자는 "이번 대책은 기존 대책과 다르지만 전
이창무 한양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준공업지역을 주택용으로 개발하면 상당한 물량이 들어갈 수 있지만 무작정 주택을 짓는 것은 장기적 관점에서 후회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정석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