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권 이익공유제 후폭풍 ◆
올해 들어 코스피가 급상승하고 있지만 은행을 중심으로 하는 국내 금융지주 주가는 제자리걸음이다.
작년 금융당국의 배당 자제령에 이어 올해 들어서는 여당을 중심으로 정치권이 이익공유제를 들고나오는 식으로 주주이익을 침해하면서 외국인들이 주식을 내다팔며 대거 이탈했기 때문이다.
작년 4월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이 코로나19 상황이 장기화할 것을 대비해 은행들이 배당을 자제하고, 코로나 금융 지원을 늘려야 한다는 메시지를 금융권에 전달한 바 있다. 이 같은 금융당국의 발언은 주식시장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외국인 등 주주들은 시세차익보다는 배당수익을 고려해 금융주를 장기 보유하는데 이 같은 국내 금융당국 의견은 금융주의 가치를 크게 떨어뜨리는 요인이라는 것이다. 실제 외국인은 이 같은 발언 이후인 작년 5월 1일 이후 같은 해 말까지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금융지주) 주식을 1조1690억원어치나 순매도했다. 올 들어서는 연초에 저평가 기대감과 배당 재개에 대한 기대감으로 외국인이 금융주를 매수하고 있다.
서영수 키움증권 연구원은 "주주의 이익을 사회에 환원하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배당 규제에 이어 은행업종 주가에 부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은행의 공익적 역할과 규제의 범위를 넘어선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국내 은행들의 경우 연 1조원 규모 사회공헌활동 등을 통해 이미 이익 공유를 하고 있는 만큼 또 다른 이익공유제로 은행들에 중복
은행연합회가 지난해 공개한 '2019 은행 사회공헌활동 보고서'에 따르면 은행연합회와 은행·보증기금·한국주택금융공사 등 22개 금융기관은 2019년 사회공헌 사업에 총 1조1359억원을 지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일호 기자 / 강봉진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