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11월 소비자동향 조사'에 따르면 이달 주택가격전망지수는 130으로, 2013년 1월 통계 작성을 시작한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월 대비 8포인트 오른 수치다.
한은 관계자는 "(주택가격전망지수가) 9월에 일시적으로 상승을 멈췄지만 이후에도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오름세가 지속되면서 심리에 영향을 미쳤다"며 "집값 상승 전망 응답은 전 계층에 걸쳐 고르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정부가 24차례에 달하는 부동산 관련 정책을 쏟아내고 있지만, 집값 안정이라는 정부 정책과 반대로 국민들은 집값 상승에 베팅하고 있는 셈이다.
주택가격전망지수는 현재 시점 대비 1년 후 주택가격에 대한 소비자 심리를 나타낸 지수로, 100보다 클 경우 '상승할 것'이라는 응답이 '하락할 것'이라는 응답보다 많았음을 의미한다. 이번 한은 조사는 전국 도시 2500가구(응답 2366가구)를 대상으로 이달 10~16일 설문조사 방식으로 진행됐다.
주택전망지수는 지난 2월 투기 수요 차단 규제가 나온 뒤 3월 112에서 4월 96으로 하락했으나 6월에 다시 112로 올랐다. 이후 주택시장 안정 대책, 수도권 주택 공급 확대 방안 등 정부 정책이 잇달아 발표된 7, 8월에는 125까지 상승했다. 9월(117)에 잠시 주춤했지만 지난달 122로 120대를 회복했다.
전문가들은 "부동산 관련 정부 정책이 신뢰를 완전히 잃었다"고 지적했다. 심교언 건
[김희래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