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블록체인업계에 따르면 카카오의 블록체인 기술 계열사 그라운드X는 지난 10월 '클레이튼 임프루브먼트 리버스(KIR, Klaytn Improvement Reserve)' 프로그램을 정식 시행하며 사용자 보상을 통한 생태계 활성화 도모에 적극 나서고 있다. KIR은 그라운드X의 블록체인 네트워크 '클레이튼(Klaytn)'을 활용한 기술 개발이나, 커뮤니티 활동으로 클레이튼 생태계 발전에 기여한 개인 및 단체 또는 기업에 가상자산(암호화폐) '클레이(KLAY)'를 지급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리워드 프로그램이다.
네이버의 일본 자회사 라인도 지난 9월 사용자 보상 캠페인 '링크 리워드 프로그램((LINK Rewards Program)'을 출시했다. 링크 리워드 프로그램은 일반 기업이 자체 서비스 성장에 기여한 사용자에게 '링크 리워드'를 지급하는 캠페인으로, 링크 리워드는 라인이 발행하는 자체 가상자산 링크(LN)로 전환 가능하다. 해당 캠페인은 일본 거주자를 대상으로 진행되고 있다.보상으로 받은 링크 리워드는 사용자의 비트맥스 월렛을 통해 지급된다. 비트맥스 월렛은 라인의 가상자산 거래소 비트맥스에서 제공하는 암호화폐 지갑으로, 링크 리워드를 받기 위해서는 비트맥스 계정이 필요하다. 보상으로 획득한 링크는 거래소를 통해 자유롭게 거래 가능하다.
블록체인 기반 포인트 통합 플랫폼 '밀크(MiL.k)'를 운영중인 밀크파트너스는 최근 이용자 혜택 강화 및 서비스 만족도 제고를 위해 프리미엄 멤버십 토큰 '맵(MAP, MiL.k Activity Privilege)'을 선보였다.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디지털 자산과 같이 투명하고 안전하게 관리되는 맵(MAP)은 밀크 회원에게만 제공하는 특별 혜택이다. 밀크 코인(MLK) 소각 이벤트 참여, 포인트 교환, 밀크팩 참여 등 밀크 생태계 활성화에 기여한 이용자에게 활동 보상으로 지급되며, 밀크 앱 내에서 이용자끼리 자유롭게 주고받을 수도 있다. 맵 보유량에 따라 멤버십 회원 등급 결정 및 우대 혜택이 부여될 예정이다.
블록체인 기반 영화 공유 플랫폼 무비블록은 투표를 통해 단편 영화 엄선작을 가려내는 시청자 중심의 영화 선정 서비스 '무비블록 픽(PICK)'을 운영 중이다. 무비블록 이용자는 매 투표마다 기본으로 제공되는 티켓 한 장과 무비블록이 자체 발행한 가상자산 '무비블록 토큰(MBL)' 보유 수량에 따라 추가로 지급되는 티켓으로 영화 선정 투표에 참가할 수 있다. 투표 결과에 따라
[김진솔 기자 jinsol0825@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