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정부가 부동산 대책으로 내세운 지분적립형 분양주택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 대출로 집을 사거나 30년간 월세로 살되 마지막에 보상으로 낡은 아파트를 받는 것과 다름이 없다는 이유에서다. 사진은 서울 중구 일대 아파트. [매경DB] |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28일 토지·건물 지분의 20∼25%만으로 주택을 분양받아 입주하고 이후 20∼30년간 남은 지분을 취득하는 지분적립형 주택을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 부동산시장 점검 관계장관회의에서 "서울시와 국토교통부가 꾸린 TF와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지분적립형 분양주택의 사업구조를 구체화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홍 부총리는 "최초 분양 시 토지·건물 지분의 20∼25%만을 취득해 입주할 수 있도록 하되 입주 후 공공지분에 대한 임대료는 시세 대비 낮은 수준으로 책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지분적립형 주택을 신규 공급주택 중 공공보유부지, 공공정비사업 기부채납분 등 선호도가 높은 도심부지부터 점진 적용할 계획"이라며 "향후 공급 일정을 고려할 때 2023년부터 분양이 가능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지분적립형 분양주택은 입주자가 초기에는 일정 지분만 매입하고 4년마다 10∼15%씩 균등하게 나누어 취득함으로써 20∼30년 후 주택을 100% 소유하는 방법이다.
분양가 10억원짜리 아파트라면 초기 20~25% 지분율로 2억 5000만원을 내고 입주할 수 있고, 나머지 지분은 임대료로 지불하게 된다.
투기 방지를 위해 20년간 전매제한, 실거주 요건 등을 부여하기로 했다.
이와 관련 홍 부총리는 "매매와 전세시장 안정에 기여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안"이라며 "지분적립형 분양주택은 향후 무주택 실수요자의 내 집 마련을 지원하는 새 공급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
내 집 마련이 목표인 직장인 김 모씨(41)는 "30년짜리 장기 월세랑 뭐가 다르냐"라며 "30년 동안 죽기 살기로 월세를 낸 후 손에 남는 건 낡아 빠져서 녹물 나오는 임대 아파트"라고 지적했다.
한 네티즌(push****)은 "고심 끝에 발표한 대책이 고작 이것이냐"라며 "대출받고 집 사는 것과 무슨 차이가 있는지 모르겠다"고 꼬집었다.
댓글에는 "집으로 돈 버는 것을 절대 허락하지 않는 것 같다(ch57****)" "장기전세 리츠하고도 비슷하네. 차라리 리츠를 더 보완하지(3768****)" "국가가 모든 토지를 소유하고 개개인에게 임차료를 받는 중국의 토지공개념과 비슷하다(heal)" "바로 집 못 사게 하고 20~30년은 임대료 내고 살라는 거네(alta****)" "사실상 30년 동안 이사 못가게 하는 건 좀 너무하지 않나(swc9****)" 등 반응도 있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29일 매경닷컴과 통화에서 "지분적립형 주택은 내 집 마련의 꿈
한편 문재인 대통령은 전날 "질 좋은 중형 공공 임대아파트를 공급해 전세 시장을 기필코 안정시키겠다"고 밝혔다.
[서윤덕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