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열 보험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고령으로 갈수록 저축률이 올라가는 것은 특정 세대로부터 생겨났다기 보다는 IMF 외환위기를 거치면서 다수의 세대에서 동시에 시작된 것"이라면서 "IMF 외환위기 이후 악화한 노후소득 여건으론 금리 하락을 들 수 있는데, 일정한 노후소득 확보를 위해 필요한 자산(원금)의 규모가 예상보다 커지면서 노후에도 저축을 우선 시 하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도시 가구의 경우 전체적으로 40대 가구의 저축률이 가장 낮은 수준을 보이는 가운데 2010년대에 들어서는 50~60세 이상 가구의 저축률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추세"라며 "연령대별 저축률을 보면 2016년 기준 60대 이상 저축률은 33%로 가장 높았고 그 뒤를 50대 31.8%, 39세 이하 29.45%, 40대 23.4% 순이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60대 이상 고령층 가구의 저축률은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가 2004년부터 타 연령대 대비 상승하기 시작해서 2010년대에는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며 "특히, 60세 이상 가구의 소득 수준은 타 연령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음에도 저축률이 가장 높은 것은 이례적인 현상"이라고 지적했다.
반면 40대 가구의 저축률은 2000년대 들어 타 연령대 대비 확연히 낮은 수준을 이어가고 있어 처분가능소득 대비 가장 높은 소비지출을 하고 있다. 40대에서 저축률이 낮은 것은 자녀 등 교육비 부담 때문으로 보고 있다. 실제 2016년 처분가능소득 대비 교육비의 비중은 40대 가구의 경우 14.3%로 50대 6.9%, 39세 이하 5.5%, 60세 이상 1.0%에 비해
이태열 선임연구위원은 "5060세대 저축률 몰입현상이 노후에 대한 불안감에서 작용한 측면이 크다"면서 "보험사들은 즉시연금이나 노인건강보험 등 고연령층의 노후위험을 대비할 수 있는 상품을 확대, 이들의 소비위축에 따른 국내 내수부진을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류영상 기자 ifyouare@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