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인프라코어 인수전에 GS건설이 출사표를 던졌다. 주택·건설사업 위주의 사업 모델에서 벗어나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GS건설 등 적격인수후보군(숏리스트)에 포함된 기업만 7곳에 달해 분위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21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GS건설은 두산인프라코어 매각을 위한 예비입찰 숏리스트에 포함된 것으로 뒤늦게 확인됐다. GS건설은 토종 사모투자펀드(PEF)인 도미누스인베스트먼트와 컨소시엄을 꾸려 입찰에 뛰어들었다. 현대중공업지주·KDBI 컨소시엄을 비롯한 6곳의 후보군과 경쟁을 펼치게 됐다. 매각 주간사 크레디트스위스는 7일 현중컨소시엄과 유진그룹, 글랜우드PE, MBK파트너스,이스트브릿지파트너스 등을 적격후보군으로 선정해 통보했다. GS건설은 이들 과 함께 유력 후보로 부상하게 됐다.
GS건설이 인수전에 뛰어든 건 사업 다각화 차원으로 풀이된다. 올 1분기 기준 GS건설 매출 대부분이 건축·주택(54%)과 플랜트·전력(36.9%)에서 나오고 있다. 탁월한 분양 성과로 실적 추이는 양호하지만 주택 경기에 따른 불확실성이 크다는 것이 약점이다. GS건설이 두산인프라코어를 인수할 경우 건설장비 시장에 진출하게 돼 수직계열화를 꾀할 수 있다. 내부적으로는 두산인프라코어의 해외 성장성에 주목하는 분위기다. 특히 올 상반기 중국에서만 1만대의 굴착기를 판매하며 해당 시장에서 남다른 입지를 보여주고 있다.
GS건설의 인수 여력은 충분하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올 상반기 연결 기준 2조원이 넘는 현금성자산(단기 보유자산 포함)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도미누스인베까지 재무적투자자(FI)로 유치한 만큼 자금 증빙엔 문제가 없는 상황이다. GS건설은 2018년부터 매년 1조원 수준의 상각전영
[강두순 기자 / 강우석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