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부산 진구 일대 전경 [매경DB] |
14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해 3분기(7~9월) 아파트 분양물량은 전국 총 12만5683가구(임대포함 총 가구수 기준)로 3분기 기준으로는 최근 5년간 가장 많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월별로는 ▲7월 4만6616가구 ▲8월 4만7385가구 ▲9월 3만1682가구로 분양 일정이 지연됐던 물량들이 계절적비수기로 통하는 8월에 집중되면서 3분기 공급 증가를 견인했다.
올해 3분기 전국 아파트 평균 청약경쟁률은 21대 1로, 전년동기(16대 1)보다 높아졌다. 지역별로는 부산(82대 1), 서울(64대 1), 울산(24대 1)에서 전국 평균을 상회하는 청약성적표를 받았다.
![]() |
서울은 'DMC SK뷰 아이파크 포레'가 340대 1의 올해 최고 경쟁률을 기록한 가운데 3분기 청약접수를 받은 15곳 중 6곳에서 세 자릿수 경쟁률로 마감했다.
최근 청약 훈풍이 불고 있는 울산의 경우 ▲더샵번영센트로(77대 1) ▲번영로센트리지(26대 1) ▲태화강유보라팰라티움(12대 1) 등이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4분기에는 3분기보다 많은 총 14만5143가구가 공급을 준비 중이다. 수도권 물량이 8만5673가구로 전체의 과반수를 차지한다. 지역별로는 ▲경기 4만8745가구 ▲인천 2만3607가구 ▲서울 1만3321가구 ▲충남 1만1949가구 ▲부산 1만1083가구 순으로 물량이 많다.
경기에서는 과천지식정보타운 물량에 관심이 쏠릴 전망이다. S4블록의 과천푸르지오어울림라비엔오(679가구), S5블록 과천르센토데시앙(584가구), S1블록 과천푸르지오오르투스(435가구) 등 3곳이 10월 중 동시분양을 계획했다.
서울 4분기 아파트 분양예정 물량은 3분기(1만7730가구)보다 4409가구 줄어들 예정이다. 분양가상한제가 본격 적용되면서 영향을 받는 단지들이 적잖다. 둔촌주공은 연내 분양이 불투명해졌고, 10월로 예정했던 래미안원베일리도 일정이 조정될 가능성이 있다. 대단지 아파트의 분양일정 지연으로 4분기 서울에서는 분양이 귀할 전망이다.
인천에서 4분기 예정 물량 13곳 가운데 11곳은 1000가구 이상 규모의 아파트다. 이중 2000가구가 넘는 대단지 분양은 ▲e편한세상부평그랑힐스(5050가구) ▲더샵부평(민간임대, 3578가구) ▲인천계양1재개발(2371가구) ▲인천용마루지구(2312가구) 등 4곳이다.
부산은 지난해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된 후 청약시장 호조세가 이어지는 분위기다. 4분기 ▲온천4구역래미안(4043가구) ▲장림1구역재개발(1639가구) ▲대연비치재건축(1374가구) 등 정비사업 대단지 물량이 청약열기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여경희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4분기에도 수도권에서는 수요자들이 서울 접근성이 좋은 수도권 지역의 청약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가점 경쟁에서
[이미연 기자 enero20@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