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더불어민주당 민병덕 의원이 발표한 우리은행 채용비리 간부 재취업 현황.[사진 제공: 국회방송 캡처] |
13일 국회 정무위원회의 금융감독원에 대한 국감에서 더불어민주당 민병덕 의원은 "70만 미취업 청년을 대신에 질문한다"며 "채용비리로 합격한 사람을 그대로 두고 재발방지 대책을 말할 수 있느냐"고 이날 증인으로 부른 강성모 우리은행 부행장에게 물었다.
민 의원에 따르면 2015~2017년 우리은행에서 부정한 청탁으로 채용된 인원은 37명으로 아직 19명이 근무중이다.
민 의원은 "(이런 사람들 때문에) 채용에서 탈락한 30대가 극단적 선택을 한 사례도 있다"며 이 30대는 부모님이 걱정할까봐 취업을 했다고 거짓말을 했고, 취업을 했으면 월급이 있어야 해 사채업자에 빚을 냈고 결국 빚에 쫓겨 극단적 선택을 했다고 말했다.
민 의원은 "(우리은행 채용비리 관련) 대법원 확정 판결이 났으면 정상화 조치가 있어야 하지 않느냐. 채용비리 피해자들은 피눈물을 흘리고 있다"며 부정 취업자에 대한 조치 필요성을 강 부행장에 거듭 물었다.
특히 "(이광구 전 우리은행장 등) 채용비리 당사자들이 우리은행에 여전히 둥지를 트고 있다"며 준비한 PPT 자료를 통해 우리금융그룹 관계사인 윈피앤에스, 우리카드에 취업비리 연루 인사 4명이 간부로 다시 재직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민 의원은 이어 라임 사태와 관련 "우리은행 내부에서 위험성을 인지하고도 상품 판매를 강행한 부서 2곳이 있다"며 "(여기에 소속된) 사람들이 승진을 하고 포상을 받은게 맞느냐"고 반문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이 사람들 일부가 라임 사태 이후 사후관리팀으로 자리를 옮겼다"며 "징계를 받아도 모자랄 사람들인데, 한참 잘못된 것 아니냐"고 강 부행장에 질의했다.
또 "우리은행 내부에서 라임 펀드의 위험성을 알린 직원이 있었는데 업무에서 배제되고 따돌림을 당했다"며 "우리은행 직원들이 어떤 시그널로 받아들일지 안타깝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강 부행장은 "채용비리, 라임 사태 피해자 모든 분들에 죄송한 말씀을 드린다"면서 "채용비리로 재직중에 있는 19명 직원에 대해서는 법률적 판단과 정책적 판단을 종합적으로 고려중에 있다"고 답했다.
강 부행장은 "채용비리 피해자 구제와 관련해 이 부분도 계속 검토하고 있었다"며 피해자를 특정하지 못하는 어려움 있어 이 자리에서 답을 못하는
라임 사태와 관련해서는 "(펀드 판매를 실행한) 2개 부서 직원들에 검사가 진행됐고 곧 제재를 받을 것으로 알고 있다"며 "사후관리팀으로 인사 배치가 적합했는지에 대해서는 챙겨보겠다"고 강 부행장은 덧붙였다.
[전종헌 기자 cap@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