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상위 20개 증권사의 중소 및 벤처기업 투자의 77%가 수도권에 쏠린 것으로 나타났다. 본점 및 지점도 수도권에 집중돼 금융인프라의 격차가 수도권과 지방간 경제격차에 일조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정무위원회 민형배 의원이 2020년 6월말 기준으로 금융감독원을 통해 증권사 자본 상위 20곳의 중소, 벤처 투자현황을 받은 결과 중소기업에 대한 투자 1845억원 중 1433억원인 77.7%가 수도권에 집중돼 있었다. 벤처기업의 경우에는 총 투자 2103억원 중 1638억원(77.9%)이 수도권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경향은 연도별로 심해지는 추세다.
2015년의 경우에는 전체 중소기업 투자 577억원 중 70%인 405억원이 수도권에 집중됐고, 벤처기업 투자금액 223억원 중 164억원인 73.9%가 수도권에 투자됐다. 하지만 2020년에 이 수치가 전부 77%로 수도권 집중이 보다 강화된 것이다.
중소기업과 벤처기업에 대한 대출현황을 살펴보면 2020년 6월말 기준 중소기업 대출 총 2558억원 중 수도권에 71%인 1815억원이 집중됐다. 반면 광주의 경우 중소, 벤처에 대한 투자가 31억원으로 전체의 0.8%, 전남은 60억원으로 1.5%에 불과했다.
대출 규모 뿐 아니라 금융인프라에 있어서도 수도권과 지방의 격차는 컸다.
2020년 6월말 기준으로 상위 20곳의 증권사 중 19곳은 본점이 서울에 위치했고 단 1곳만 부산에 위치했다. 지점의 경우에도 전체 지점 905개 중 수도권에 59.1%인 535개가 위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이러한 금융인프라와 자금지원의 수도권 쏠림의 수도권과 지방간의 부의 격차를 심화시키는데 일조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방의 투자 인프라 부족으로 중소·벤처기업이 수도권으로 떠나게 되면 수도권과 지방간 투자 격차가 더욱 벌어질 수밖에 없다. 이는 지역경제·일자리에도 같은 격차를 유발할 수 있다. 또 증권사 지점과 전문 인력이 수도권에 몰려있어 지방에 거주하는 투자자는 투자 관련 정보나 상품 가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민형배 의원은 "지방에서
[류영상 기자 ifyouare@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