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지난 6일 서울 강남 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KB증권과 디셈버앤컴퍼니자산운용, 엔씨소프트가 합작법인 출범을 위한 조인식을 실시했다. 박정림 KB증권 대표와 정인영 디셈버앤컴퍼니 대표, 정진수 엔씨소프트 수석부사장(왼쪽부터)이 기념사진 촬영중이다. [사진 제공 = KB증권] |
KB증권과 디셈버앤컴퍼니자산운용, 엔씨소프트 3사는 지난 6일 서울 강남 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합작법인(JV) 출범을 위한 조인식을 실시했다고 7일 밝혔다.
이날 조인식에서 3사는 각사 핵심역량인 금융투자(KB증권), 자산운용플랫폼 기술(디셈버앤컴퍼니), AI기술(엔씨소프트)를 집약한 AI간편투자 증권사 진출을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합작법인은 디셈버앤컴퍼니에 KB증권과 엔씨소프트가 각각 300억원씩을 출자해 구성됐다. 향후 가입고객수 1000만명, 관리자산 10조원이 목표다.
이들이 내건 기치는 "고민없는 간편한 금융투자"다. 기존 금융투자업은 PB의 투자조언을 토대로 고객에게 적합한 상품을 추천해주고 자산운용을 해주는 것이 비즈니스 핵심이었다. 그러나 AI간편투자 증권사가 출범할 경우 자산운용은 로보어드바이저가 자동으로 실행하고 자산관리 자문은 AI PB가 제공해 전통 방식 PB비즈니스와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기존 PB시장이 고액자산가 중심이었다며 이를 일반 대중으로 널리 확산시킬 수 있는 게임체인저는 AI PB다. KB증권의 금융데이터 및 자산관리노하우를 기반으로 디셈버앤컴퍼니의 AI엔진인 아이작과 간편투자플랫폼 프레퍼스를 통해 맞춤형 자산운용서비스를 제공하고 엔씨소프트의 인공지능 자연어처리 기술을 집약한 AI PB 서비스를 개발해 개인별 최적화 자산관리 통합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것이 이들의 목표다.
디셈버앤컴퍼니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개인별 맞춤 포트폴리오 구성과 실시간 리밸런싱이 가능한 로보어드바이저 기술을 갖추고 있다. 이번 합작법인을 통해 마이데이터(본인신용정보관리업), 투자매매업 및 중개업 라이선스 취득 등을 추진해 종합금융플랫폼사업자로 거듭나겠다는 복안이다.
이를 통해 자산운용뿐 아니라 고객 생애주기에 맞는 금융상품 추천은 물론 대출, 보험, 지출관리 등 토털 금융컨설팅 제공까지 꾀할 방침이다. 향
[한우람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