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서울 여의도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전경 [매경DB] |
소병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5일 국토교통부가 제출한 약 60만 건의 주택 자금조달계획서 세부 내역을 분석한 결과 2018년 1월부터 올해 8월까지 서울에서 집을 산 20대 1만1914명은 평균 1억5500만원의 자기 자금과 3억1200만원의 차입금을 통해 집을 장만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 자금 1억5500만원은 금융회사에 예치한 예금 6000만원, 가족으로부터 받은 상속금 3500만원 등으로 이뤄졌다.
특히 3억1200만원에 달하는 차입금의 절반 이상은 세입자들 보증금에서 나왔다. 은행 대출금은 1억원 수준이었던 것에 비해 세입자가 낸 보증금은 1억6800만원을 차지했다. 소 의원은 "전체 주택가격에서 세입자들의 임대보증금이 차지하는 비율이 30대 이후에는 보통 20~25% 내외였는데, 20대는 36%에 달했다"며 "그만큼 20대들이 세입자들 임대보증금을 이용한 갭투자에 적극적이었다는 것이 입증된 셈"이라고 말했다.
같은 기간 서울에 집을 산 10대 청소년 322명은 가족 등으로부터 상속받은 자금이 평균 6
[박윤예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