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 소병훈 의원실] |
5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소병훈 의원(더불어민주당)은 국토교통부가 제출한 약 60만 건의 주택자금조달계획서 세부내역을 분석한 결과, 2018년 1월부터 올해 8월까지 서울에서 집을 산 20대 청년들은 평균 1억 5500만원의 자기자금과 3억 1200만원의 차입금을 통해 집을 장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대 청년들은 1억 5500만원의 자기자금 가운데 금융기관에 예치해둔 평균 6000만원의 예금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또한 가족 등으로부터 상속받은 약 3500만원과 부동산 매각이나 보증금 회수를 통해 마련한 약 3300만원, 약 2200만원의 현금 등 기타자금, 약 500만원의 주식과 채권 등을 통해 약 1억 5500만원의 자기자금을 마련한 것으로 집계됐다.
20대 청년들이 집을 사는 과정에서 낸 3억 1200만원의 빚의 절반 이상은 세입자들의 보증금에서 나왔다. 은행대출은 1억원 수준에 불과했고, 대부분은 소위 '갭투기'로 불리는 세입자 보증금이 1억 6800만원을 차지했다.
소 의원은 "전체 주택가격에서 세입자들의 임대보증금이 차지하는 비율이 30대 이후에는 보통 20~25% 내외였는데, 20대는 36%에 달했다"면서 "그만큼 20대들이 세입자들의 임대보증금을 이용한 갭투기에 적극적이었다는 것이 수치로 입증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서울에 집을 산 10대 청소년은 가족 등으로부터 상속받은 약 6400만원의 자금 비중이 가장 컸다. 또 금융기관에 예치해둔 약 4900만원의 예금과 부동산 매각 등을 통해 마련한 약 4100만원, 현금 등으로 보유하고 있던 약 2200만원과 주식 약 800만원을 통해서 약 1억 8000만 원의 자기자금을 마련해 평균 3억 3900만원의 집을 산 것으로 나타났다.
단순하게 계산해보면 1억 2000만 원의 돈을 모으기 위해서는 매월 43만원씩 꼬박 20년을, 매월 92만원씩 꼬박 10년을 저축해야 모을 수 있는데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10대 청소년들이 이런 돈을 보유하고 있기에는 현실적이지 않다는 지적이다.
때문에 이들 10대 청소년들이 주택 구입에 필요한 예금과 현금 등을 조성하는 과정에서 불법이나 탈법 행위가 있었다면, 국토교통부는 '부동산 거래신고 등에 관한 법률' 제6조제5항에 따라 수사기관에 고발하고, 관련 법률에 따라 처벌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소 의원은 "서울에서 집을 산 10대 청소년 322명 가운데 76.4%, 246명이 '주택을 매입한 후에 임대하겠다'고 밝힌 상황에서 이러
[이미연 기자 enero20@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