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은행권에서 벌어진 총 5000억원 규모 금융사고 중 누적 건수는 우리은행이, 누적 액수는 IBK기업은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만 놓고 볼 때는 신한은행 금융사고 건수가 가장 많았다.
4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영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은행권 금융사고 발생 현황'에 따르면 2016년부터 올해 6월까지 국내 20개 은행에서 발생한 금융사고는 총 186건, 사고 금액은 총 4884억원에 달했다.
우리은행에서 사고가 총 33건 발생해 가장 많은 건수를 기록했다. 이어 국민은행(27건), 신한은행(27건), 하나은행(22건), NH농협은행(19건) 순이었다. 이들 5대 은행에서 발생한 사고가 전체 건수 중 68.8%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사고 금액이 가장 큰 곳은 기업은행으로 1337억원(15건)이었다. 이어 산업은행 1298억원(5건), 농협은행 673억원(19건), 우리은행 491억원(33건) 순이었다. 올해 상반기 기준으로 건수 1위는 신한은행(5건), 액수 1위는 전북은행(13억2400만원)으로 집계됐다. 금융사고 유형별로는 소속 임직원 등 횡령·유용이 전체 건수 중 48.4%에 달하는 90건으로 가장 많았고, 사기(57건), 배임(26건), 도난·피탈(8건) 등이 뒤를 이었다.
예를 들어 지난 3월엔 우리은행 영업점 직원이 가상화폐에 투자하겠다며 두 차례에 걸쳐 은행 자금 총 1억8500만원을 빼돌린 사실이 적발됐다. 이 직원은 면직 처리됐다. 또 전북은행에선 타인 명의로 대출을 신청했다는 사실을 알고도
[정주원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