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성동구 성수지구 주택가 전경 [매경DB] |
24일 국민의힘 김상훈 의원(대구 서구)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2016~2019년간 서울시 취득세 납입현황'에 따르면 2016년 건당 평균 900만원이던 서울 주택 취득세는 지난 2019년 평균 1358만원으로 458만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율로 따지면 약 50% 가량 급증한 셈이다. 다주택자에 대한 취득세가 인상된 2020년에는 증가 폭이 더 커질 전망이다.
서울시 자치구 중 평균 취득세가 가장 많이 오른 곳은 성동구로 3년새 무려 1570만원이 늘어났다. 고가주택이 많은 강남구(1316만원), 서초구(1112만원), 영등포구(865만원), 동작구(603만원)가 뒤를 이었다.
김상훈 의원은 "현 정부의 부동산 실정에 따른 집값 상승이 세금폭탄 고지서가 되어 날아들고 있다"며 "국민 부담을 가중시
매매·상속·증여 등의 형태로 주택을 취득할 때 내는 취득세는 주택 취득가액 및 평형 등에 따라 1~3%의 세율 적용한다. 2020년에는 3주택자의 경우 취득세를 8%로, 4주택 이상은 12%로 올리는 조항이 신설됐다.
[김동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