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개포주공1단지 전경 [사진 = 매경DB] |
21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전세 실거래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 6월 서울 전세 실거래가격은 평균 4억8282만원으로 역대 최고가격으로 거래됐으나 7월 평균 4억5742만원으로 전월 대비 2540만원 떨어졌다.
이어 8월에는 평균 4억1936만원(전월대비 3806만원 하락)으로 낙폭이 커졌다. 9월 들어 평균 4억3301만원으로소폭 상승(전월대비 1365만원 상승)했으나 아직 9월이 열흘정도 남은 상태라 회복세로 돌아섰는지는 여부는 더 지켜봐야할 것으로 보인다.
권역별로는 한강이남이 서울 전체 평균가격 추이와 유사한 흐름을 보였으며, 한강이북은 9월에도 소폭 하락했다. 6월 평균 5억4464만원이었던 한강이남은 8월 평균 4억5612만원으로 큰 폭으로 하락했다. 9월 평균가격은4억9191만원으로 8월보다 상승했지만 여전히 5억원을 밑도는 수준이다.
한강이북 역시 6월에 가장 높은 가격(4억465만원)으로 거래됐으나 7~9월 연속 하향세다. 한강이남이나 한강이북 모두 올해 6월 평균 거래가격이 2011년 전세 실거래가 발표 이후 최고가격을 기록했다.
![]() |
↑ [자료 = 직방] |
6~7월 거래가 많았던 서초구 단지 중에서는 주로 7억원 이상의 고가 아파트 거래가 20건 안팎으로 이뤄진 반면, 8월에는 총 거래량도 줄었지만 장기전세 아파트인 양재리본타워2단지 등 3억원대 거래가 증가하며 평균 거래가격이 하락했다.
한편 강남구는 은마, 도곡렉슬 등 고가아파트의 거래가 6~7월에 많았으나 8월에는 해당 거래가 크게 줄었다. 송파구 TOP5 아파트는 변동이 없으나 거래량이 절반 이하로 크게 줄어들며 평균 가격이 하락했다.
한편 서울 전세 거래량도 함께 감소했다. 6월에 1만1184건 거래됐으나 7월에는 1만144건, 8월 6271건으로 감소폭이 계속 커지고 있다.
직방 관계자는 "계약일 집계 기준이므로 신고건수를 좀더 지켜봐야 겠지만 8월은 특히 전년 거래량에 비해 40.16%나 감소(4209건)했다"며 "통상 2년 계약임을 고려했을 때 2018년과 비교해도 39.6% 감소한 수치다. 주택임대차 계약 갱신권 적용의 효과가 일부 나타난 것"이라고 예상했다.
![]() |
↑ [자료 = 직방] |
9월에도 전세거래량 감소세는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9월의 절반 정도 지난 시점이지만 거래량은 1507건에 그쳐 이후에 거래될 건을 감안해도 전월 또는 전년에 비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7월말 임대차법 개정 이후로 거래량이 크게 줄었다. 전세 물량이 많지 않아 거래가격이 오를 것으로 예상했으나, 평균 실거래가격은 오히려 하락세를 나타냈다.
직방 관계자는 "가격이 높고 거주환경이 좋은 아파트의 거래량이 크게 줄어들면서 전체적으로 가격이 하락했다"며 "이는 재건축 조합원 의무 거주기간이나 양도세 비과세 적용 조건에 거주요건이 추가되면서 집주인이 직접 거주하려는 움직임이 일부 반영되면서 나타난 결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다만 7~8월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 하락은 일시적인 현상에 그칠 수 있으니 시장을 조금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진단이 나온다. 올해 서울지역에 남은 입주물량은 1만가구 정도이고 내년에도 2만5000가구 정도라 예년(2018년 3만3723가구, 2019년 4만6220가구)에 비해 부족한 편이다.
임대차법 개정으로 인해 전세
[이미연 기자 enero20@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