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헌수 순천향대 교수는 17일 한국리스크관리학회가 개최한 '전국민 고용안전망 시대의 보험산업 역할' 세미나 주제발표에서 "고용리스크 관리 방안으로 고용보험을 2층으로 설계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1층은 사회보험으로 특수형태근로자종사자, 프리랜스, 자영업자 등으로 확대해 나가면서 2층을 민영보험이 보장하면 투텁게 실업리스크를 보장할 수 있다"고 제언했다. 1·2층 모두를 사회보험으로 보장 시 개인 니즈가 단순화, 국가적 비효율을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김 교수는 특히, 고용보험이 보험사의 대인 서비스 네트워크를 일자리 매칭(Job Matching)에 활용하면 실업률을 낮출 수 있다고 조언했다.
그는 "건강보험을 판매하는 보험사가 건강관리서비스를 통해 의료비(보험금)를 낮출 수 있는 것처럼 일자리 매칭으로 실업기간은 줄이고, 보험금(실업급여) 지급도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급변하는 노동시장을 반영한 일자리 매칭 서비스는 건강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보험사가 급변하는 건강관리서비스 시장에서 소비자에게 필요한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같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고용보험은 도덕적 해이로 실업률을 높이다. 하지만 민간 보험사와 연계하면 실업률을 낮출 수 있다"고 거듭 강조하며 "기존 임금근로자 대상 고용보험 재정 안정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고용노동부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 1년에 1번 이상 실업급여를 수령한 사람은 2만 942명이고, 총 2759억원 수령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인당 1320만원(월 181만원)으로 최저임금(월 179만 5310원) 보다 높았다.
김 교수는 민간 보험사의 고용보험 상품으로 ▲고용연금(개인연금+실업급여) ▲사다리 고용연금(유기연금+실업급여) ▲톤틴 고용연금(톤틴연금+실업급여) ▲선지급 보장보험(CI+실업급여) 등을 소개했다.
김 교수가 먼저 소개한 고용연금은 실직 시 구직급여 보장금액의 일정수준(예 50%)을 지급하고 나머지는 개인연금 적립금에서 인출해 실업급여를 보장한다. 현 제도권에서 운영할 수 있고, 연금 활성화를 통해 향후 노령화와 실직에 따른 정부의 재정적 부담도 낮출 수 있다. 하지만 공적보험인 고용보험을 보충하는 상품으로 시장성에는 한계가 있다.
사다리 고용연금은 가계에서 소비와 소득이 불일치 하는 구간을 메워 신상품으로 출시할 수 있다. 하지만 저축성 상품으로 인식되면 신자본규제 속에서 판매가 부담스러울 수는 있다.
톤틴 고용연금은 사망보험금과 해약환급금이 없는 대신 그 재원을 생존자에게 분해하되, 실업요건 충족 시 개인별 적립금에서 인출해 보장한다.
지급 보장보험은 CI보험에 실업보장 급부를 추가, 실업 시 앞으로 지급할 사망보험금의 일부를 실업급여로 선지급하는 형태를 취한다. 이 경우 위험률 변동 영향 최소화(선지급), 중대 질병으로 실직 시 '실업급여+진단보험금'이 지급, 현실적인 소득과 의료비 지원이 가능하다. 하지만 인수기준에 따라 가입 거절이 발생할 수 있고, 리스크 수준에 따라 요
이날 김 교수의 주제발표에 이어 국회입법조사처, 생명보험협회, 노동연구원, 보험대리점협회 등의 소속 전문가 토론을 통해 보험의 역할 제고에 대한 심도있는 의견교환이 이뤄졌다.
[류영상 기자 ifyouare@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