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건축물 리모델링 시장의 전망과 정책 과제' 보고서를 통해 올해 개수와 유지·보수를 포함한 국내 리모델링 시장 규모가 30조원으로 추정되고 이어 2025년에는 37조원, 2030년에는 44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16일 전망했다.
올해 12조 7950억원으로 예상되는 건축물 유지·보수 시장은 2025년 13조 7590억원, 2030년 14조 7230억원으로 추정됐다. 지난 2000∼2017년간 건축 시장은 실질적으로 신축이 주도했기 때문에 건축물 유지·보수 시장은 지난 17년간 역성장·저성장 했지만, 중장기적으로 활성화될 가능성 크다는 진단이다.
박용석 건산연 연구위원은 "1990∼2010년에 신축된 건물들은 점차 노후화되고 있지만 당장 재건축 또는 전면 리모델링(개수)을 앞두고 있지는 않다"며 "코로나19 확산 등으로 경기가 위축된 상황에서 재건축과 전면 리모델링보다는 기존 건물의 장수명화와 유지관리비 절감을 위해서 필수 기계와 설비를 교체하거나 노후화된 부분에 대한 수리·수선 등을 실시하는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건축물 리모델링 시장은 2020년 17조 2930억원, 2025년 23조 3210억원, 2030년에는 29조 3500억원 규모로 추정된다. 2002∼2019년간의 건축물 리모델링 시장은 불규칙한 성장 추이를 보였지만 향후 급성장할 가능성이 크다. 2018년 말 기준으로 준공 후 30년 이상 경과한 건축물은 전체 건축물의 37.1%를 차지해 활성화가 기대된다는 진단이다.
정부는 자원의 최적 활용, 에너지 절약 등을 위해 '리모델링 활성화' 정책을 펼쳤지만, 건축물 유지·보수 시장은 축소되는 동시에 건축물 리모델링 시장은 성장과 축소가 반복되고 있다. 특히 정부가 초점을 둔 것은 아파트 노후화에 따른 공동주택 리모델링 활성화다. 앞서 다양한 정책이 추진됐지만 주거용 리모델링 추진 실적은 매우 저조했다.
공동주택 리모델링 착공 현황을 보면 2010년 10만㎡ 수준에서 2015년 6만㎡로 감소했다가 2019년 16만㎡로 증가하는 불규칙한 패턴을 보이고 있다. 리모델링 착공 면적 중 공동주택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에 0.8%에 불과하다.
박
[이미연 기자 enero20@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