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 시대를 맞아 보험산업은 인슈어테크(보험+정보기술)를 이용해 새로운 경영전략 수립에 골몰하고 있다. 이는 보험산업 생존과 발전을 결정하는 새로운 변수가 될 것이다."
안철경 보험연구원장은 8일 보험개발원, 손해·생명보험협회와 함께 개최한 '언택트 시대 인슈어테크와 보험산업 전망' 세미나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언택트 전환은 새로운 기술과 방대한 데이터를 통해 지금보다 더 효율적으로 바뀔 것"이라며 "빅테크 기업과의 공생은 필연적"이라고 역설했다.
최용민 한화손해보험 상무는 '언택트 시대 국내 보험 비즈니스 모델' 1주제발표를 통해 "코로나19로 소비자가 중요하게 인식하는 리스크 유형이 변하고 있고, 사회 안전망으로서 보험 역할이 부각하고 있다"면서 "이에 대응해 헬스케어와 판매채널에서 많은 변화가 예상된다. 보험사는 빅데이터·AI, 블록체인, 모바일 등의 기술을 활용해 디지털 전환에 대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양경희 보험개발원 조사국제협력팀 팀장은 '언택트 시대 해외 보험 비즈니스 모델' 주제발표를 통해 "코로나19로 보험산업의 디지털 혁신이 더 빠르게 전개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양 팀장은 중국 핑안그룹의 신생태계 구축과 보험 가치사슬의 효율성 극대화 사례와 일본 손보재팬의 빅테크 협업을 통한 고객 접점 확대 및 공유경제·건강관리 컨설팅 등 신사업 진출 사례를 소개했다.
임성기 카카오페이 보험사업추진실장은 '디지털 보험 비즈니스 모델'이란 주제발표를 통해 "언택트 사회 도래는 비대면 채널 활용 가속화와 디지털보험의 차별화한 고객가치 반영 활성화, 디지털전환으로 인한 조직문화 및 일하는 방식의 변화를 꼽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디지털보험 사업모형으로 보험사와 ICT 기업과의 파트너십, 인슈어테크 기반 디지털 플랫폼 사업모형 확장, 디지털 생태계 기반 디지털 보험사 설립 등이 가능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임 실장은 디지털보험사 사업모형을 통해 고객 경험 혁신에 기반한 기업가치 극대화와 기술에 기반한 보험 가치사슬 혁신 가속화로 중장기 이익기반을 확보할 수 있는 선순환 발전방향을 제시했다.
류준우 보맵 대표는 '플랫폼 보험판매 비즈니스 모델' 주제발표에서 "보험판매 플랫폼은 판매·가입에서 보험계약관리와 보험금 청구까지 보험구매 가치사슬에서 소비자 불편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세호 KPMG 상무는 '데이터를 활용한 보험 비즈니스 모델'이란 주제발표에서 "금융업은 무형자산 기반이라 디지털 혁신 영향이 크다"며 "비금융사가 기술역량을 활용해 고객 접점을 확보하고 금융사업으로 적극 진출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이어 "향후 보험업 전반에 걸친 파괴적 혁신이 예상된다"면서 "고객에게 차별화한 상품과 서비스 제공을 위해 비금융 데이터 융합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규동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언택트 시대 보험 비즈니스 전망 및 규제 변화' 주제발표에서 "새로운 기술과 데이터 적용으로 비대면 전환이 발생하고 있지만 이는 오히려 보험사와 소비자의 연결을 강화하고 새로운 보험 생태계를 조성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소비자들이 새로운 환경에서 새로운 상품을
[류영상 기자 ifyouare@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