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정의실천연합이 문재인정부 출범이후 서울에서 거래된 1000억원 이상 업무·상업용 빌딩의 공시지가 시세반영률이 40%에 그친다고 7일 밝혔다.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상업·업무용 토지의 시세반영률은 지난해 66.5%, 올해 67% 등으로 경실련 조사 결과와 큰 차이를 보인다.
경실련은 이날 온라인 기자회견을 열고 "2017년부터 2020년 상반기까지 서울에서 거래된 1000억원 이상 업무·상업빌딩을 조사한 결과 공시지가는 시세의 40%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또 땅 값과 건물가격을 합한 공시가격은 실거래가의 47%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경실련은 이 기간 서울에서 1000억원 이상에 거래된 업무·상업빌딩 73건의 실거래가 총액이 21조6354억원인데 비해 이들의 공시가격 총합은 9조9681억원이라고 밝혔다. 거래된 빌딩의 평균 시세반영률은 47% 수준인 셈이다.
공시지가 시세반영률은 더욱 낮았다. 실거래가에서 건물값(시가표준액)을 제외한 토지시세와 정부가 정한 공시지가를 비교한 결과 평균 시세반영률이 40%로 나타났다. 경실련은 "지난해 평균 시세반영률은 43%였지만 최근 부동산가격이 급등하면서 올해 거래된 9개 빌딩의 현실화율은 33%로 다시 낮아졌다"며 "공시지가 시세반영률이 50%를 넘긴 해는 한 차례도 없었다"고 설명했다.
지난 3월 국민연금공단이 5050억원에 매각한 서울 중구 남산스퀘어의 공시가격은 1268억원으로 시세반영률은 32%에 불과했다. 실거래가에서 건물시가표준액을 제외한 땅값 시세는 ㎡당 5900만원 가량이지만 공시지가는 1597만원으로 공시지가 시세반영률은 27%로 나타났다.
경실련 발표는 정부 공식 통계와 크게 차이난다. 국토부는 지난 2월 올해 표준지 공시지가를 공시하면서 표준지 공시지가 현실화율이 65.5%로 지난해 64.8%에 비해 0.7%포인트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상업·업무용 토지의 공시지가도 지난해 66.5%에서 올해 67%로 0.5%포인트 올랐다고 밝혔다.
경실련은 업무·상업용 빌딩의 공시지가가
[이윤식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