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월 전국주택거래 최대 ◆
전문가들은 6·17 대책과 7·10 대책 등을 통해 대부분 수도권 지역과 지방 일부가 규제로 묶인 점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고 있다. 전국이 규제지역으로 묶이면 모두 동일한 환경이 돼 서울로 유동성이 다시 돌아온다는 우려가 실제 지표에서도 확인된 셈이다. 물론 이 같은 추세가 앞으로 계속될지는 더 지켜봐야 한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실제 8월 들어 서울 등 전국적으로 주택 매매거래가 큰 폭으로 줄어드는 모양새다.
20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의 주택 매매거래는 2만6662건을 기록했다. 강남과 강북을 가리지 않고 모든 지역에서 거래가 큰 폭으로 늘었다. 7월 강북과 강남 주택거래량은 각각 1만3615건, 1만3047건으로 6월보다 각각 31.4%, 43.4% 증가했다.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하면 각각 132.4%, 103.9% 폭증한 수치다.
반면 올해 초부터 거래량이 급증했던 인천과 경기도는 여전히 활발한 분위기지만 폭발력은 주춤해졌다. 인천은 7월 주택 매매거래가 8018건으로 6월(1만2115건)보다 33.8% 줄었다. 경기도도 4만1045건으로 6월(4만3956건) 대비 6.6% 감소했다.
지방의 경우는 지역마다 분위기가 다르다. 세종과 부산, 대구 등은 주택 매매가 늘었지만 대전은 2877건에 그치며 전월 대비 54.1%, 전년 동기 대비 6.3% 거래량이 감소했다.
부동산 시장에선 6·17 대책과 7·10 대책이 잇따라 발표되면서 '서울 집중 현상'이 더욱 심화됐다고 판단한다. 주택 시장 규제가 수도권 전역으로 확산하면서 '똘똘한 한 채'로 불리는 서울, 특히 강남3구 아파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는 것이다. 지난해 12·16 대책으로 서울 지역이 규제로 꽁꽁 묶이자 수도권으로 빠져나가 풍선효과를 일으켰던 투자 수요가 정부 규제가 지방까지 겨냥하자 회귀한 셈이다.
실제로 6·17 대책 발표 이후 서울에서 15억원 이상 초고가 아파트 거래량은 직전보다 대폭 늘어났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시스템에 따르면 6월 17일부터 8월 19일까지 서울의 15억원 이상 아파트 거래량은 1637건으로 집계됐다. 직전 4~5월 거래량(899건)보다 82.1% 증가했다. 고가 아파트가 밀집한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는 물론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동작구, 광진구, 양천구 등 주요 지역 모두 거래량이 대폭 늘었다.
한편 확정일자 자료를 바탕으로 한 7월 전월세 거래량은 18만3266건을 기록했다. 전월(18만7783건)보다는 2.4% 감소한 반면, 전년 동월(16만3885건)보다는 11.8% 증가했다.
지역별로 뜯어봐도 추세는 비슷하다. 7월 서울은 5만6960건으로 6월(6만3000건)보다는 9.6% 줄었지만, 지난해 같은 달(5만211건)보다는 13.4% 늘었다.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은 12만5622건으로 같은 기간 각각 3% 감소, 15.1% 증가했다. 지방(5만7644건)은 전월 대비 1.1% 줄었지만, 전년 동월 대비 5.3% 늘었다.
하지만 서울 전셋값이 60주 연속 뛰는 등 시장 불안이 심화되면서 거래량이 매매가격에 미치는 영향도 관심사다. 최근 전세 매물이 급감하면서 지은 지 30년 이상 된 낡은 아파트 전셋값조차 3억원씩 껑충 오르고 있다.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현대13차 전용 108㎡는 지난
[손동우 부동산전문기자 / 박윤예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