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번 토론회는 지난해 말 LH 글로벌사업본부가 신설된 이후 개최된 첫 토론회로, LH의 해외사업 추진현황을 공유하고 코로나 상황에서 필요한 중장기 사업 추진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했다.
LH는 작년 9월 미얀마 경제협력산업단지(KMIC) 해외합작법인을 설립하며 그간 수주형 해외사업에서 탈피하고 투자개발형 사업으로 해외진출 방향을 전환한 데 이어, 올해는 베트남과 러시아 등으로 투자개발형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변창흠 LH 사장이 '글로벌 포용국가 비전과 LH 해외개발 구상'이라는 주제로 기조특강을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변 사장은 단순 개발사업이 아닌 우리나라와 해당 국가 모두가 상생할 수 있는 전략으로 '포용적 해외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이를 실행하는 글로벌 도시개발 리더로서 LH의 역할을 설정했다.
그 실행과제로는 글로벌 포용성장 정책지원자(Supporter), 한국형 도시모델 사업기획자(Planner), 해외투자사업 총괄개발자(Developer) 역할을 수행하는 글로벌 SPD(Supporter-Planner-Developer) 전략을 제시했다.
이 후 이용삼 LH 글로벌사업본부장의 LH 글로벌사업 추진현황과 전략에 대한 특강이 이어졌으며 ▲베트남·러시아·중남미지역 진출전략 ▲인도네시아 신수도 이전 ▲팬데믹 시대 글로벌 개발사업의 변화·대응방안 등 5가지 주제발표가 진행됐다.
자유토론에서는 황희연 토지주택연구원장을 좌장으로 LH 임직원들과 김도년 성균관대 교수, 김찬호 중앙대 교수 등 외부 전문가들이 함께 국가별 차별화된 진출전략에 대한 아이디어와 LH 투자개발형 해외사업의 방향을 고민했다.
변창흠 LH 사장은 "이번 토론회에서 논의
[이미연 기자 enero20@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