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건축의 핵심 기술로 꼽히는 '건설정보모델링(BIM)' 활성화를 위한 정부 로드맵이 하반기 마련된다. 정부는 국내 건축산업의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해 BIM 적용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및 단계적 의무화를 시행해나갈 계획이다. 현재 미국·유럽 등 선진국 건설기업들은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BIM을 활용해 설계·시공의 효율성과 안정성 등 건축물의 품질을 높여가고 있다.
15일 국토교통부와 건축업계에 따르면 국토부는 2030 BIM 활성화 로드맵 수립을 위해 'BIM 이용 활성화 전략 마련 연구' 용역계약을 최근 한국건설기술연구원과 체결했다. 앞서 지난 3월과 4월 두 차례 입찰공고를 냈으나 모두 유찰되면서 수의계약 방식으로 이뤄졌다. 국토부 관계자는 "용역 계약기간은 6개월이지만 최대한 서둘러서 올해 가을쯤 로드맵 방안을 마련해 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BIM은 3D 기술을 이용해 건축물을 입체적으로 설계·시공·관리하는 기법이다. BIM이 적용되면 시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크게 줄일 수 있고, 예상 공사 기간이나 비용 등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BIM 분야 글로벌 선도 업체로 손꼽히는 스웨덴의 스칸스카(Skanska)는 미국 유타주의 이베이 데이터센터, 영국 런던 헬스케어센터, 핀란드 크루셀브리지 등 현재까지 10개 이상의 다양한 건축물을 BIM을 통해 성공적으로 건축했다. 국내에서는 2015년 준공된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진주 신사옥 등 일부 랜드마크 건물 등에서 제한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정부는 하반기 로드맵 수립을 시작으로 BIM 적용 확대에 본격 나설 계획이다. 공공분야는 일정 부분 이상 공사에 대해 의무화하고, 민간에 대해선 우선 인센티브 제공을 통해 단계적으로 BIM 이용을 확대할 방침인 것으로 파악됐다. 영국은 이미 2018년부터 정부 예산으로 진행하는 모든 사업에 대해 BIM을 의무 적용하고 있다.
손태홍 한국건설산
[최재원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