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악재로 증시가 급락하는 동안 외국인과 기관의 매물을 받아 든 개인투자자들의 손실이 불어나고 있다. '지금이 저점'이라는 판단 아래 지수 움직임의 배를 추종하는 레버리지 상품을 매입하고 '빚내 투자'에 나섰지만 예상보다 증시 바닥이 깊어지면서다.
1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기준 유가증권 시장과 코스닥 시장을 합친 국내 신용거래융자 잔액이 10조2962억원을 기록했다. 지난달 초만 해도 9조원대에 머물렀지만 지난달 11일부터 10거래일 연속 증가했다. 신용거래융자는 증권사가 투자자에게 제공하는 주식매수 자금 대출로, 증권사와 신용거래에 대한 사전 약정을 맺은 개인투자자가 증권사로부터 자금을 빌려 주식을 매매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이달 들어 코스피와 코스닥 모두 경사진 내리막길을 걷는 와중에 신용거래융자 잔액이 늘었다는 것은 주가가 바닥을 찍고 반등할 것이라는 투자자들의 기대가 컸다는 의미다.
신용거래융자에는 고율의 이자가 따르지만 주가가 오르면 대출 원금과 이자를 상환하고도 투자 원금 대비 높은 시세차익을 챙길 수 있다. 때문에 주가가 상승할 것으로 바라보지만 투자 실탄이 부족한 투자자들이 주로 활용한다.
문제는 예상과 달리 주가가 떨어질 때 발생한다. 주가 낙폭에 더해 이자까지 물어야 해 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밖에 없다. 최악의 경우 신용으로 빚내 사들인 주식 가치가 담보비율 이하로 떨어져 반대 매매 집행 대상이 돼 큰 폭 손실이 그대로 확정될 수 있다. 반대 매매를 해도 빚을 다 갚지 못하는 경우 이 계좌는 이른바 '깡통계좌'로 전락한다.
주가가 최근처럼 하락세를 이어 간다면 이 같은 경우가 현실화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투자자들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코로나19가 대유행으로 번질 수 있다는 공포에 코스피가 2000선 밑으로 추락한 상황에서 미국 증시까지 휘청이고 있어 상승을 담보할 수 없는 상황이다.
개인투자자들과 반대로 외
[홍혜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