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제공 = 삼성자산운용] |
이 펀드는 올 한 해에만 수탁고 1200억원 이상 증가한 '삼성 J-REITs부동산 펀드'의 운용 노하우를 접목해 아시아-태평양(Asia-Pacific) 지역 국가들의 리츠자산으로 투자 범위를 넓혔다. 펀드는 연평균 4%대의 배당이 기대되는 이 지역 리츠 자산에 투자해 안정적인 인컴 수익을 추구한다.
국가별 투자 비중은 일본(42.8%), 싱가폴(24.8%), 호주(22.0%), 홍콩 (5.6%), 한국(4.8%) 순이며, 우리나라의 K리츠물은 2~3종목이 해당된다.
펀드를 운용하는 글로벌주식운용팀 박용식 매니저는 "전세계적으로 장기화 된 저금리, 통화완화 정책이 부동산 자산가치 상승과 배당의 매력도를 올리고 있다"며 "그 중에서도 아시아-태평양 지역 리츠의 높은 성장 잠재력에 대한 기대감이 이 펀드 출시의 배경"이라고 설명했다.
삼성 아시아퍼시픽리츠 펀드의 핵심 운용 전략은 안정적인 배당을 기반으로 한다는 점이다. 펀드가 투자하는 싱가폴(5.2%), 호주(4.6%) 등의 리츠는 미국(3.7%), 영국(3.9%) 등 선진국 리츠와 비교해 배당률이 높다. 특히 해당 국가의 국채금리와 배당률의 차이, 즉 일드 스프레드가 선진국 대비 크기 때문에 더 높은 배당 수익을 추구한다. 한편 리츠 자산에 포함된 부채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양호한 재정 건전성 또한 장점으로 꼽힌다.
아시아퍼시픽리츠 지수는 최근 10년 간 약 72% 이상 상승했다. 반면 배당수익률은 4%대로 견조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박 매니저는 "이 펀드는 투자하는 리츠의 배당수익률과 무위험 자산인 국채금리와의 차이가 선진국 리츠 대비 커서 투자자들에게 더욱 매력적인 투자처로 떠오르고 있다"고 설명했다.
펀드가 아시아 지역 리츠 자산을 담는 이유는 다양하다. 이들 국가들은 강력한 성장 잠재력을 바탕으로 국가 전체의 소득과 소비가 모두 증가 추세에 있기 때문에 상업시설과 같은 리테일 섹터의 리츠 수요가 늘어나고 있고 도시화의 속도가 빨라지면서 오피스, 주택, 상업시설 등 부동산 섹터의 리츠에 대한 전망도 밝다. 또 많은 인구와 지정학적 이점을 활용해 아시아-퍼시픽 지역 국가를 중심으로 한 무역거래가 증가하고 있어 글로벌 물류 허브로서의 관련 인프라 리츠 성장도 기대할 만 하다.
실제 비교지수로 삼고 있는 'S&P Asia Pacific REIT' 지수의 상장 종목 개수는 최근 10년 간 85개에서 131개로 늘었고, 시가총액은 최근 10년간 약 5배 규모로 성장했다.
박 매니저는 "J-REITs 부동산 펀드에 대한 시장의 긍정적 반응을 보면서
[디지털뉴스국 김경택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