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0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고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5년부터 올해 8월까지 KB국민·신한·우리·KEB하나·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이 파생결합상품 판매로 얻은 수수료는 1조9799억원이다. 5개 은행은 같은 기간 208조원 상당의 파생결합상품 460만건을 판매했다.
5개 은행이 판매한 파생결합상품은 2016년 23조5566억원에서 지난해 55조9131억원으로 불과 2년 만에 137% 늘어났다. 판매 수수료 수입도 같은 기간 2078억원에서 5463억원으로 163% 증가했다.
최근 5년간 5개 은행이 가장 많이 판매한 파생결합상품은 주가연계신탁(ELT)으로 총 172조원(83%)에 달한다. 다음으로 주가연계펀드(ELF) 21조원(10.2%), 파생결합펀드(DLF) 9조3105억원(4.5%), 파생결합증권신탁(DLT) 4조7618억원(2.3%) 등이 뒤를 이었다.
은행별로 보면 국민은행이 75조원으로 5년간 가장 많은 파생결합상품을 팔았다. 하나은행(52조원), 신한은행(35조원), 우리은행(32조원), 농협은행(14조원)이 그 뒤를 이었다.
최근 대규모 원금 손실이 발생해 논란이 된 금리 연계 DLF를 가장 많이 판매한 곳은 하나은행과 우리은행이었다. 이들 은행이 지난해부터 올해 7월까지 판매한 DLF는 총 4조567억원 규모로 전체(4조7462억원)의 85%에 달했다.
이들이 벌어들인 판매 수수료는 하나은행 227억원, 우리은행 170억원 등 397억원에 달한다. 특
[이새하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