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커지는 금융위험 경고음 ◆
◆ 빚 못 갚은 자영업자
금융채무 불이행자로 등록된 자영업자는 2016년 6월 2만3746명, 2017년 6월 2만3939명으로 증가세가 더뎠지만, 최근 급격히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출을 보유한 전체 자영업자 중 금융채무 불이행자는 2017년 6월 1.35%, 2018년 6월 1.36%에서 올해 6월 1.62%로 늘었다. 자영업자는 한국 경제의 대표적인 '취약계층'으로 꼽힌다. 자영업대출은 올 들어 600조원을 훌쩍 넘어선 것으로 추정된다.
금융업권 중에서도 상호금융에서의 금융채무 불이행 잔액이 급격히 늘어난 것이 눈길을 끈다. 서정호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등 가계대출에 대한 신규 규제들로 인해 향후 자영업 부문 채무 상환에 대한 압력이 더욱 증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정부의 소득주도성장 정책 실패가 경기 침체와 맞물려 자영업과 영세 소상공인의 가계를 위협하고 있다"며 "경제정책의 전면적 수정과 함께 중간임금지대 고용 시장의 마련, 내수경제 활성화 대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 고령 신불자 '나 홀로 증가'
이 의원이 입수한 한국신용정보원 자료에 따르면 올해 7월 말 기준 금융채무 불이행자는 94만8800명이다. 저금리, 각종 서민금융 제도 확대의 영향으로 금융채무 불이행자는 2016년 말 105만9200명, 2017년 말 103만6900명, 지난해 말 101만200명으로 지속적으로 감소세를 보여왔다.
하지만 연령대별로 들여다보면 60세 이상에서만 '나 홀로 증가세'를 보였다. 60세 이상 금융채무 불이행자는 2017년 말 13만6600명, 2018년 말 14만3800명에 이어 올 7월 14만5300명으로 늘었다. 전체 금융채무 불이행자 가운데 60세 이상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중도 큰 폭 늘었다. 2014년 말을 기준으로 60세 이상 금융채무 불이행자 비중은 11.6%였지만, 올 7월 15.3%로 급격히 증가한 것이다. 60세 이상 금융채무 불이행자의 1인당 채무액은 올 7월 말 기준 6162만원으로 2017년 말 6526만원, 2018년 말 6220만원에 비해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1인당 채무액이 줄어들고 있다는 것은 과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빚조차 갚지 못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60세 이상 고령층은 은퇴자 비중이 높아 일정 소득이 없는 경우가 적지 않기 때문에 부채에 취약한 계층으로 분류된다. 김상봉 한성대 교수는 "60대가 되면 소득은 줄어드는 반면 의료비 등 예상치 못한 목돈을 지출해야 할 경우가 많다"며 "자영업자보다 경제적 여건이 어려운 층이 있고, 이들이 가족 등을 부양해야 한다면 결국 2금융, 대부업 등으로 넘어가면서 신용불량자로까지 내몰리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의원은 "조기 은퇴와 노후대책 없는 고령사회가 현실화하고 있다. 고령층의 빈곤을 막을 수 있는 실질적인 고용대책과 사회안전망 마련에 사회적 관심과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 심상찮은 지방 연체대출
이러한 현상은 최근 지방에서 경매주택 건수가 빠르게 증가하는 점에서도 확인된다. 지방 경매주택 건수는 2018년 말 2만9000건에서 올해 8월 3만5000건으로 크게 늘었다. 올해 8월 수도권 경매주택 건수는 2만건에 불과했다. 민좌홍 한국은행 금융안정국장은 "지방의 가계부채 연체율이 상승하는 것은 지방의 경기 부진이 가장 큰 요인이고, 지방 주택 가격 하
■ <용어 설명>
▷금융채무 불이행자 : 3개월 이상 연체금액이 50만원을 초과하거나 50만원 이하로 2건 이상 연체 기록이 있는 채무자. 과거 신용불량자라는 용어가 쓰였지만 2005년 채무 불이행자라는 용어로 명칭이 대체됐다.
[손일선 기자 / 김강래 기자 / 이새하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