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개인신용평가시 10단계로 구성된 신용등급 대신 1~1000점으로 세분화한 '신용점수제'가 적용된다. 신용점수는 큰 차이가 없지만 신용등급 경계선상에 있는 금융소비자가 불합리한 금리를 적용받는 사례가 앞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신용등급 점수제 전환 전담팀을 5일 발족하면서 현재 시중은행을 중심으로 시범운영중인 신용점수제를 내년부터 보험, 금융투자, 여신전문금융업 등 전 금융권으로 확대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기존 신용등급제는 개인 신용등급을 1~10등급으로 나눠 여신 심사와 대출금리 결정에 활용한다. 이러다보니 신용등급의 경계선상에 있는 금융소비자가 신용도에 비해 금리차가 더 많이 발생하는 '문턱효과'가 발생하곤 했다. 이를테면 신용평점이 664점이라면 7등급(600~664점)에 해당돼 은행 대출을 사실상 받기가 어렵지만, 불과 1점이 높은 665점은 6등급으로 분류돼 은행 대출을 받을 수 있었다.
점수제(1~1000점)가 도입되면 신용평가사(CB)가 신용점수만 제공하고 금융회사는 이를 토대로 리스크 전략 등을 감안해 자체적인 신용위험평가를 실시하게 된다. 신용평가가 좀 더 정교해져 신용등급 간 문턱이 사라지게 된다.
금융위는 등급제하에서 평가상 불이익을 받는 금융소비자 약 240만명이 대략 연 1%포인트 수준의 금리 인하 효과를 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신용점수제로 원활한 전환을 위해 신용등급 점수제 전환 전담팀을 이날 구성했다. 전담팀은 점수
금융위 관계자는 "신용점수제를 도입하면 점수를 활용해 보다 유연한 여신심사가 가능해져 신용등급 활용에 따른 문턱효과가 완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승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