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간 각각 집회를 개최해온 일산·파주 등 1·2기 신도시 아파트 주민들과 남양주·고양·하남 등 3기 신도시 수용 대상 토지주들이 함께 대규모 주말 집회를 열기로 했다.
4일 3기신도시전면백지화연합대책위원회, 일산연합회, 운정신도시연합회, 공공주택지구 전국연대대책협의회(공전협) 등에 따르면 1·2기 신도시 주민, 3기 신도시 토지 수용 예정지 주민 등은 오는 7일 오후 5시 서울 광화문 세종로공원에서 '3기 신도시 백지화 광화문 총궐기대회'를 열 예정이다.
이 자리에는 3기 신도시가 조성되면 직간접적인 피해가 예상되는 수도권 지역 11~13개 시민단체와 주민 1만명 이상이 참석해 △3기 신도시 즉각 철회 △1·2기 신도시 자족도시 완성 △수도권 주택 공급 폭탄 중단 △열악한 광역교통망 개선 등 구호를 외칠 전망이다. 전국 공공주택지구 주민대책위원회로 구성된 공전협은 국회가 헐값 보상의 원인이 되고 있는 토지보상법을 개정할 것과 강제 수용 시 양도세 전액 감면을 위해 조세특례제한법을 개정할 것을 요구할 예정이다.
그간 아파트 주민들 중심의 일산·운정연합회 등은 일산과 파주 등 지역 내에서 주로 집회를 해왔다. 공전협 등 3기 신도시 수용 대상지 주민들은 광화문·여의도 등 주로 서울 지역에서 집회를 벌여왔다.
정부는 지난해 12월 19일 남양주 왕숙1·2지구, 하남 교
3기 신도시 개발 예정지 주민들은 "서울과 가까운 입지에 3기 신도시를 건설하면 베드타운화하고 지역경제가 침체될 것"이라며 우려하고 있다.
[이지용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