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금융중심지추진위원회는 12일 전북혁신도시를 금융중심지로 선정하지 않은 이유로 "현재 전북혁신도시 제반 여건을 감안할 때 금융중심지로 발전할 가능성이 불확실하다"는 점을 꼽았다.
구체적으로 추진위는 "전북혁신도시에는 금융중심지로서 위상을 가진 금융사로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가 유일하다"며 "오히려 우수한 기금운용본부 인력이 퇴사하는 등 국민연금의 안정적인 정착이 시급한 과제"라고 지적했다. 금융사와 직원들이 스스로 입주를 희망할 만한 매력적인 정책을 내놓으라는 주문이다.
또 "전북혁신도시가 추진하는 농생명산업과 금융 중심지로 발전할 가능성이 논리적으로 어떤 인과관계가 있는지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추진위를 설득할 만한 논리적 근거가 부족했다는 뜻이다.
추진위는 "(금융중심지 지정을 받으려면) 금융사가 자발적으로 이전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고 농생명과 연기금 특화 모델을 논리적으로 구체화해야 한다"고 결론 내렸다.
하지만 추진위는 전북혁신도시가 금융 중심지로 지정될 가능성도 동시에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추진위는 "전북 금융산업은 서울보다는 낙후됐지만 전국 또는 부산과 비교하면 큰 차이가 없다"며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 외국 수탁은행들이 전주에 사무소 개소를 준비 중이라는 점도 긍정적"이라고 언급했다.
전북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힌트도 제공했다. 추진위는 "세계 주요 금융 중심지는 핀테크 산업 지원정책을 추진하고 있다"며 "전북혁신도시도 디지털 금융의 미래와 관련된 비전을 제시하면 좋겠다"고 언급했다. 이 같은 결정에 대해 나석훈 전북도 일자리경제국장은 "도민들 기대가 컸는데 이 같은 결론이 내려져 매우 안타깝다"면서도 "추진위 지적처럼 충분한 인프라스트럭처를 갖추지 못한 측면이 있다"고 인정하기도 했다.
전북혁신도시는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를 중심으로 하는 자산운용사 특화 금융중심지'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내걸고 세계 3대 연기금인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를 중심으로 기금운용사를 집적화하는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프로젝트 일환으로 곧 기금운용본부 외국 수탁은행인 스테이트스트리트은행(SSBT)과 BNY멜론은행이 전북혁신도시에 입주할 예정이다. 컨트롤타워 기능을 할 금융센터를 건립하는 방안도 마련 중이다. 여기에 설비와 고용 관련 보조금을 지급하는 등 입주 기업들에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는 조례안을 만들기로 했다.
금융중심지란 다수의 금융기관이 자금 조달, 거래, 운용과 그 외 금융거래를 할 수 있는 중심지를 뜻한다. 금융업을 육성하기 위해 금융사들을 한 지역에 모아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각종 편의와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정책이다. 외국 금융사들을 유치하기 위해 진입 여건을 개방하고 외국인 거주 여건을 마련하는 내용 등도 포함된다.
이를 통해 국내에 영국 런던, 미국 뉴욕, 싱가포르 같은 국제적인 금융 허브를 조성하자는 게 정책의 당초 취지다. 2008년부터 정책을 시행한 결과 2009년 서울과 부산이 제1, 제2 금융중심지로 지정됐다. 아직까지 결과는 기대 이하다. 두 도시 모두 국제금융센터지수(GFCI)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특히 국제적 금융기구나 이름 있는 금융사 유치는 언어 장벽 등 때문에 실패로 끝났다.
성공 사례가 없음에도 지자체들이 금융중심지 지정을 원하는 이유 중 하나는 '국책 금융기관 유치 기대감' 때문이다. 금융중심지로 지정됐다고 국책 금융기관을 해당 지역에 이전·설치해야 한다는 규정은 없다.
하지만 지자체들은 내심 '정부가 국책 금융기관 한두 곳은 우리 지역으로 내려보내 주겠지'라고 기대하는 게 사실이다. 추진위 관계자는 "덩치 큰 국책 금융기관 한 곳만 내려가도 지방 세수가 확 늘어나고 주변 경기가 활성화하는 효과가 분명히 있다"고 설명했다. 전북이 제3금융중심지로 지정되면 서울에 위치한 KEB산업은행이나 IBK기업은행이 전주로 내려가게 될 것이라는 소문이 공공연히 돌았던 것도 그 때문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지자체끼리 서
[전주 = 박진주 기자 / 김동은 기자 / 이새하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