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2년간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를 떠나 민간으로 이직한 운용역이 47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기금운용본부 인력 5분의 1에 해당하는 수치다. 민간에서 전문인력을 선발해 수익률을 끌어올려야 할 기금운용본부에서 인재 역이탈이 일어나면서 기금운용본부가 운용하는 국민 노후자금 639조원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31일 국민연금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승희 자유한국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국민연금이 전주로 이전한 2017년 3월부터 올해 2월 말 사이에 기금운용직을 떠난 인력은 62명으로 나타났다. 그 가운데 미취업자 11명과 한국투자공사 등 공공기관으로 이직한 4명을 제외한 전원(47명)이 자산운용사(24명), 증권사(9명), 보험사(5명) 등 민간으로 이직했다. 미취업자를 제외하면 이탈자 중 92%가 민간으로 전직한 셈이다. 이탈한 인력은 경력 15년 이상인 수석 운용직부터 3년 이상인 전임 운용역까지 고루 걸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간 자산운용업계에 거액 자금을 위탁하는 국민연금은 금융투자업계에서 '갑(甲) 중 갑'이라고 불릴 정도로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한다. 운용역들이 국민연금을 마다하고 민간으로 유턴한다는 것은 국민연금의 매력도가 종전보다 크게 낮아졌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639조원을 운용하는 기금운용본부가 수익성을 1%포인트만 높여도 6조원가량을 벌어들이는 효과가 있는 만큼 적극적으로 인력 영입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업계에서는 기금운용본부 업무의 독립성 문제를 가장 큰 이탈 요인으로 꼽는다. 국내 자산운용사 고위 관계자는 "상위 기관인 보건복지부 등 신경 써야 할 눈이 한두 개가 아니라는 점이 가장 치명적"이라며 "이 같은 제약을 피해 업무 환경이 자유로운 민간영역으로 돌아오는 운용역이 늘고 있다"고 전했다.
기금운용분부가 전주로 이전하면서 서울에 위치한 민간 금융사의 지리적 이점이 부각된 점도 민간 영역으로 이탈을 부추겼다. 실제 국민연금의 운용역 경쟁률은 전주로 이전한 이후 떨어지는 추세다. 국민연금 기금운용역 모집 경쟁률은 2014년 32대 1에 달했지만 지난해에는 5.3대 1을 기록하면서 5년 새 최저치를 나타냈다.
업계 중위 수준인 보수도 전문가들에게 어필하지 못한다는 지적이다.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 관계자는 이에 대해 "운용역 보수를 시장 상위 10%로 올리기 위해 노력 중"이라면서도 "공공기관인 만큼 예산이 한정적이라 급여 수준을 크게 올리는 것은 쉽지 않다"고 전했다.
국민연금은 2020년까지 운용 인력을 현재의 두 배 이상인 500명까지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지만 운용역 줄이탈로 결원 상태가 계속되면서 골머리를 썩고 있다. 올해 기획재정부가 승인
[홍혜진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